조회 수 17701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아픈 날 관리

  1) 아픈 날에도 인슐린과 경구혈당강해제는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당뇨병환자가 급성질환이 생기면 고혈당이 유발될 수 있고,

     제1형 당뇨병환자의 경우는 케톤산증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2) 아픈 날에는 혈당을 더 자주재고, 탈수를 막기 위해 적당한 수분을

     섭취하고, 적당한 당질(탄수화물)섭취가 필요합니다.

     자가혈당검사는 4시간 마다 하며 매 식전과 취침 전 혈당검사를

     포함해야 합니다.

     설사 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자주 혈당검사가 필요하고 케톤검

     도 4시간마다 해야 합니다.

     탈수를 막기 위해 적당한 수분(시간당 250ml)를 섭취해야 하며

     적당한 당질을(하루 150g-200g의 당질로 매시간 15g 또는 3-4시

     간마다 45-50g)을 섭취하지 않으면 starvation ketosis를 유발할

     있습니다.

     체중감소는 탈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체중을 기록해야 합니다.

  3) 급성질환으로 고혈당이 지속되거나 식욕저하로 식사가 어려운 경우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고열이 지속되거나, 요중 케톤이 강한 양성이거나 혈당이350mg/dl

     이상으로 상승되면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병원에 연락해야 할 경우

     ⑴ 하루 동안 열이 38.3도 이상이거나

     ⑵ 8시간 이상 설사가 지속되거나

     ⑶ 4시간 이상 구토가 계속되고 음식섭취를 할 수 없을 경우

     ⑷ 고혈당(300mg/dl)이 지속되거나

     ⑸ 혈당치가 80mg/dl미만인 경우입니다.

     ⑹ 제1형 당뇨병 환자인 경우는

        케톤이 중등도 이상, 호흡곤란, 심한 복통이 나타날 때입니다.

 

⚇ 당뇨환자가 아플 때는 가급적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운동은 삼가야 합니다.

  또한 보호자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골고루, 알맞게, 제때에 식사를 하며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해야 합니다.

 

2. 여행 시 관리

  1) 여행 전 최소 4-6주전에 진료를 받고 다음을 점검받아야 합니다.

    ⑴ 여행 전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의 조절상태를 평가받아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치료방법을 조종해야 합니다.

    ⑵ 필요시 예방접종도 받아야 합니다.

    ⑶ 외국 여행 시에는 주사기와 약품, 기타 물품소지를 허가 받을

       있도록 당뇨병환자임을 증명하는 영문진단서와 영문처방전을

       발급받고 공항 보안 검색자에게 보여주도록 합니다.

    ⑷ 여행 중 평소보다 활동량, 운동량이 많을 경우 인슐린 용량조정

       추가 당질 섭취량에 대해서 알도록 하고, 당뇨 약, 인슐린은 필요량

       보다 충분히 준비해야 합니다.

  2) 적절하게 짐을 준비하여 지참합니다.

    ⑴ 처방받은 당뇨 약, 또는 인슐린, 인슐린 주사용품을 준비합니다.

    ⑵ 인슐린은 덥거나(25도 이상) 추울 경우(2도 이하)에는 냉매가

       들어있는 냉각지갑 또는 보온병에 넣어 지참합니다.

    ⑶ 자가혈당 측정기(혈당측정기, 시험지, 채혈기, 채혈침)과 저혈당

       간식(말린 과일, 비스켓 등)저혈당 응급식품(사탕, 글루코스 등)을

       준비합니다.

    ⑷ 당뇨병 인식표도 준비합니다.

    ⑸ 구급약( 소화제, 지사제, 두통약, 감기약, 항생제, 항생연고)과

       일회용 반창고를 준비합니다.

  3) 비행기로 여행 중에는 식사변화, 육체적 활동부족, 시차변화 등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당뇨병 관리를 해야 합니다.

    ⑴ 비행기를 예약할 때 항공사에 당뇨병이 있다는 것을 알려 당뇨식을

       신청합니다.

    ⑵ 혼자 여행할 경우에는 승무원에게 당뇨병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합니다.

    ⑶ 당뇨약, 인슐린, 인슐린 주사용품, 자가혈당 측정용품, 저혈당 응급

       식품은 기내에 갖고 타야 합니다.

    ⑷ 비행 전에는 탈수, 고혈당, 피로를 예방하기 위하여 술을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

    ⑸ 신발, 벨트, 발목을 조이는 양말을 피하고 혈액순환을 위하여

       발 운동을 하며 1-2시간마다 움직여 혈전형성의 위험을 줄이도

       합니다.

    ⑹ 인슐린 주사 시 시차가 3-4시간 이상인 곳으로 여행할 경우에는

       인슐린 용량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동쪽지역(예로 미국)으로 여행할 경우에는 장시간형 또는중간형 

         인슐린을 하루에 1-2회 주사하는 경우 출발 일에는 평소의 인슐린

         주사 용량의 10-20%(또는 1/3)를 감량하고,

         서쪽지역(예로 유럽)으로 여행할 경우에는 평소의 인슐린량

         주사해야 합니다.

         아침 주사 후 18시간 뒤에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240mg/dl

         이상이면 아침 주사용량의 1/3일을 주사하고 필요시 간식이나

         식사를 보충하고 목적지에서 첫째 날 아침은 평소대로 주사해

         야 합니다.

         또 다른 방법은 혈당검사 결과와 식사량에 따라매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주사하며, 저혈당이 있으면 간식을 먹도록 합니다.

         또한 고혈당인 경우 필요시 추가로 초속효성 인슐린을 주사 해야

         합니다.

    ⑺ 여행 중에는 가능한 한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하며,

       생고기, 생선회, 냉 음료는 피하며 “여행자설사”및 소화기장애를

       주의해야 합니다.

    ⑻ 활동량이 많거나 운동을 할 경우에는 적절한 간식을 섭취하여

       저혈당을 예방해야 합니다.

  4) 발 관리

     맨발로 다니면 안됩니다. 해변에서도 발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신발을

     신어야 합니다.

     새 신발은 물집이 생기므로 평소에 신고자니던 신발을 신어야 합니

     다. 물집이 생기면 터뜨리지 말고 무균패드를 붙이고 매일발을 점검

     해야합니다.

 

 

                                                                                                                                          출처: 당뇨병진료지침 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42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42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42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86
4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42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21 2301
42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42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503
4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41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4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김병광 2018.02.19 2059
41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9 2071
41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4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3) 소금 김병광 2018.02.15 2080
41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1) 적정체중을 유지할 정도의 음식섭취를 한다 2) 지방 김병광 2018.02.15 2143
41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서론 김병광 2018.02.11 2076
41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11 2062
41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4) ASSIST 5) ARRANGE 3. 요약 김병광 2018.02.11 2083
40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3) AGREE 김병광 2018.02.11 2084
4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2) ADVISE (5) 특정 환자 군에서의 주의점 김병광 2018.02.10 20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