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Ⅵ. 고혈압의 약물요법

 3. 고혈압 약물의 병용요법

  1) 표적장기 손상이 없는 1기 고혈압은 단일제로 시작하고

     2-3개월 후 목표혈압 이하로 조절이 안되면 약제의 용량을 올리거나

     약제를 추가하는 병용요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2) 표적장기 손상이 있는 1기 고혈압 또는 2기 고혈압은

     처음부터 2제 이상의 병용요법을 고려합니다.

  3) 적절한 병용요법은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또는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칼슘 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또는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티아지드계 이뇨제

     칼슘 통로 차단제/티아지드계 이뇨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4) 베타 차단제/티아지드계 이뇨제 병용요법은 혈압강하 측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에 따른 혈당상승, 이상지질혈증 발생의 위험이 증가합

     니다.

     또한 혈압강하 측면에서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또는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베타 차단제

     병용요법은 권고되지 않으며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의 병용요법도

     권고되지 않습니다.

   5) 2제요법을 사용함에도 목표혈압 이하로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금기가 있지 않은 이상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포함한 3제요법의 사용을

      고려합니다.

☎ 진료시 고려할 점 촉은 특수 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권고되는 적절한 고혈압 병합요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차로 권고되는 약물의 조합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안오텐신수용체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티아지

     계 이뇨제는 서로 권고되는 약제 조합입니다.

   - 조합할수 있으나 1차로는 권고되지 않는 약물의 조합

     칼슘통로차단제와 베타차단제

     베타차단제와 티아지드계 이뇨제

   - 권고되지 않는 약물의 조합은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안오텐신수용체차단제와 베타차단제입니다.

 • 저용량 병용요법은 혈압강하효과가 더 우수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습

   니다.       

 • 고령의 경우 길립성 저혈압이나 부작용 발생의 위험성이 커서 특히 조심스럽게

   저용량으로 추가합니다.

 •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제외한 혈압약은 나트륩과 수분저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뇨제가 포함 안된 다른 적절한 병용요법을 투여했음에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

   을 경우에는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또는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및 이뇨제를 추가하

   는 경우 혈중 크레아틴닌의 상승이나 전해질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4. 고혈압 약물의 감량과 휴약

  1) 약물치료를 시작한 후 상당기간 목표혈압 이하로 조절된 환자들은

     혈압약의 감량을 고려합니다.1

  2) 혈압약의 감량을 고려할 때는 환자가 염분섭취 제한, 적절한 운동, 절주

     금연, 체중감량 등의 노력이 적절히 병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을

     고려해야합니다.

  3) 1년 이상 혈압이 목표혈압 이하로 잘 조절되는 경우 혈압약의 감량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약제를 서서히 감량할 때는 철저한 생활습관

     조절과 동반되서 진행해야 하며, 최소한 3개월 간격으로 병원을 방문 하도록

     하고 자가혈압 측정 등을 통한 철저한 혈압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특히 갑자기 혈압이 상승할 수 있음을 염두해야 합니다.

 

 5. 고혈압 약물치료와 순응도 향상방안

  1) 2제 이상의 병용요법을 할 경우 순응도 향상 측면에서 단일 복합제를

     고려합니다.

  2) 순응도의 향상을 위해 하루에 1번 처방이 가능한 반감기(T/P ratio 50%

     이상)가 긴 약물을 처방하는 하는게 좋습니다.


  ☎ 약물에 대한 부작용, 약의 개수 그리고 약의 복용 횟수가

       약물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저용량 병용요법은 상승효과에 따른

       혈압강하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약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목표혈압 이하로 도달한 환자는 수개월 간격으로 추적관찰을 해도 순응도에

       는 차이가 없습니다.                

                                                                                        - 대한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206 고혈압 고혈압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093
205 고혈압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김병광 2011.05.02 21922
204 고혈압 고혈압 2( 고혈압 분류/고혈압의 표적장기란?/고혈압 약을 복용시 이점/고혈압 위험인자 등 등 김병광 2011.05.02 19535
203 고혈압 고혈압 1(고혈압이란? 혈압측정 방법 은?) 김병광 2011.05.02 18586
20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20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20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19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19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19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19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19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19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19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19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19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1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18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1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