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2.09.05 13:52

고혈압성 콩팥병

조회 수 125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혈압성 콩팥병이란?

   고혈압성 콩팥경화증(혹은 사구체경화증)이라 하며

   고혈압 환자가 콩팥이 나빠질만한 다른 원인이 없을 때 고혈압성 콩팥병

   이라 합니다.

 # 혈압이 계속 조절되지 않으면 고혈압성 콩팥병이 생기며, 콩팥기능이

   감소하면 염분을 배설하지 못하고 축적되어 콩팥기능이 나빠질 수록

   혈압이 올라감니다. 즉 혈압이 높아지면 콩팥이 손상되어 기능이 떨어지

   고 반대로 콩팥에 질병이 생기면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아 고혈압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고혈압은 콩팥질환의 원인이 동시에 결과입니다.

 

Ⅱ. 고혈압의 콩팥병의 위험요소는 무엇인가요?

   1) 사구체 경화: 고혈압으로 인해 사구체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사구체에 이상을 일으켜 고혈압성 콩팥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세뇨관과 세뇨관 세포의 변화: 고혈압으로 인해 혈액과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면 세뇨관이 위축되며, 세뇨관 세포가 기능을 상실하고

      섬유세포로 변하는 섬유화가 심해지면 단백뇨가 증가하고 결국 콩팥

      기능이 나빠짐니다.

Ⅲ. 고혈압성 콩팥병의 증상은 어떠한가요?

    초기에는 혈압이 높아지는 것 외에는 증상이 없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콩팥기능이 50% 이상 상실되도 별다른 증상이 없어 심각한 상태에

    되어야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은 일반적인 만성콩팥병의 환자와 같습니다.

  # 만성콩팥병의 증상

    1) 부종, 고혈압: 발, 발목, 다리 등이 부어오르고 혈압이 올라갑니다.

    2) 요독증: 과다한 뇨산 및 질소노폐물이 혈액내에 싸여 식욕저하,

               구역, 구토, 신장부근의 부종, 신경문제, 정신상태의 변화,

               졸음, 발작, 혼수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전해질 이상: 전해질은 생체기능을 조절하는되 혈액 속에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는 콩팥의 기능이 악화되어 전해질 양에

              이상이 생김지다.

    4) 대사성 산증: 중탄산염 생성이 감소되어 대사성 산증이 나타납니다.

    5) 빈혈: 적혈구 생산을 톡진시키는 조혈호르몬의 합성능력이 감소하여

             빈혈이 생기고 피로감을 느낌니다

    6)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Ⅳ. 고혈압성 콩팥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콩팥 손상은 소변검사의 침사 이상, 단백뇨, 사구체 여과율 감소로

    확인합니다.

    혈중 크레아틴은 사구체 여과율을 계산하는데 이용됩니다.

    1) 병력확인 및 진찰: 고혈압에 관련된 증상과 안정된 상태에서 여러번

                        혈압을 측정합니다.

    2) 검사

      ⑴ 소변검사: 혈뇨 또는 단백뇨나 미세알부민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⑵ 혈액검사: 사구체여과율로 만성콩팥병의 단계를 정합니다.

         그 외 혈중요소질소(BUN), 혈청 알부민, 빈혈, 혈중지질 농도,

         전해질 등의 검사를 합니다.

      ⑶ 콩팥 초음파, 전산단층촬영(CT): 콩팥크기, 신결석, 종양유무,

         구조적 이상을 확인합니다.

 

Ⅴ. 고혈압성 콩팥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철저한 혈압조절이 중요하며, 기본적으로 비약물 치료도 함께합니다.

    1) 혈압 치료 목표는 130/80mgHg이하입니다.

    2) 생활습관 개선: 비만, 고지방과 고염분 및 저캴륨 식사, 운동부족,

                     흡연 및 음주 등의 위험인자를 줄입니다.

    3) 약물치료: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

                이뇨제, 캴슘채널차단제 등 다양한 약을 사용합니다.

 

Ⅵ. 주의 사항

   1) 전산단층촬영을 할 때 투여하는 조영제는 콩팥 기능을 급성으로 악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는 마른기침이

      나 혈관부종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캴륨배설을 억제하여 고캴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Ⅶ. 건강유지를 위한 조언

    고혈압성 콩팥병의 발생의 최선의 예방책은 고혈압 발생을 예방하는 것

    입니다.

    1) 식습관개선, 저염분, 저지방식이와 함께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합

       니다.

    2) 규칙적인 운동, 적정체중 유지, 금연은 기본입니다.

    3) 고혈압 환자는 생활습관 교정을 기본으로 한 약물치료로 혈압을

       철저히 조절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7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226 기타 남성 갱년기 김병광 2013.07.08 10268
225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224 소화기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의 진단과 치료 김병광 2016.05.17 5306
223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222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22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220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21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218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217 기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김병광 2016.10.08 4990
216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215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4 김병광 2012.01.28 15090
214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3 김병광 2012.01.28 14820
213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2 김병광 2012.01.28 15576
212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1 김병광 2012.01.28 15991
211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김병광 2012.02.12 16390
210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1 김병광 2012.02.11 16774
»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208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2 김병광 2012.02.02 15549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