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1. 임신성 고혈압

    ☎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임신 중 만성고혈압

       2) 임신성 고혈압

       3) 전자간증

       4) 만성고혈압과 전자간증의 중첩은

          임신 전 만성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 전자간증이 발병한 경우입니다.

      - 혈압의 높이에 따라

          경증   :140-149/90-99 mmHg 이상

          중등증 : 150-159/100-109 mmHg 이상

          중증   : 160/110 mmHg 이상으로 정의합니다.

  1) 임신성 고혈압의 치료

   * 권고내용

     ① 혈압이 160/110 mmHg 이상인 중증 고혈압의 경우 약물치료를 권고합니다.

     ② 목표 혈압은 150/100 mmHg 미만으로 조절하며

                    이완기혈압을 80 mmHg 미만으로 낮추지 않아야 합니다.

     ③ 임신 중 유용한 고혈압 약물로 칼슘통로차단제(nifedipine), 베타차단제

         (labetalol, 특수 의학품 신청을 통해 사용이 가능 함), 하이드랄라진

         (hydralazine), 메틸도파(Methyldopa, 국내에 없음)를 고려합니다. 

        사용합니다.


☎ 1) 임신 중 고혈압에 관한 지침들은 현실적으로 임상연구가 불가능하여 대부

      전문가 의견에 의해 이루어짐니다.

      대체로 혈압이 160/110mmHg 이상의 중증 고혈압은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리하나, 160/110mmHg 미만의 경우에는 확실치 않습니다.

    2) 임신중 혈압이 150/95mmHg 이상의 경우에는 분만 전후에 뇌졸중에 의한 입

       원 발생이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래서 혈압은 150/100mmHg 미만으로

       조절하며  확장기 혈압을 80mmHg 미만으로 낮추지 않도록 권고하비다.

    3) 임신 중 유용한 고혈압 약물로 methyldopa, labetalol, nifedipine과

       hydralazine, 칼슘 통로 차단제, 베타 차단제 등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4) 약의 선택은 기존에 복용하던 약의 종류, 부작용, 기형의 위험성을 고려하

       여 선택합니다.

       베타차단제는 태아성장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임신 후반부에

       사용합니다.

       이뇨제는 체내볼륨 가소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또는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를 복용하면 선천성

       기형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고혈압약을 변경하도록

       권고하고, 만일 이 두가지 약제를 복용하는 중 임신이 진단되면 신속히 중

       단하고 대체약을 투여합니다.

       전자간증 등과 같이 응급상황에서는 labetalol 정주가 추천되나

        nitroprusside 또는 nitroglycerin 등도 정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분만 후에는 혈압을 140/90mmHg미만으로 조절합니다.

         


                                               


                                                                                    - 대한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2
226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만성콩팥병과 고혈압 2 김병광 2015.07.14 5568
225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Ⅱ. 당뇨병환자의 4가지 관리목표 수립하기 김병광 2015.07.17 5561
224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223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3.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3 5531
222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목적과 목표 김병광 2015.07.01 5523
22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220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2) 김병광 2015.07.04 5511
21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218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1 김병광 2015.07.12 5478
217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알기 김병광 2015.06.29 5468
21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215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Ⅲ. 고혈압 환자의 평가: 1 김병광 2015.07.12 5450
»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임신성 고혈압 김병광 2015.07.14 5449
21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21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21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210 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Ⅴ.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2 김병광 2015.07.12 5410
209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정리 김병광 2015.07.05 5382
208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1) 김병광 2015.07.04 5320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