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7.06 05:22

당뇨전단계 - 1

조회 수 187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2형 당뇨병이 진단되기 전에 무증상 기간이 장시간 존재하는 경우가 흔하여 심지어 당뇨병성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도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뇨병의 조기진단이 당뇨병과 당뇨병에 이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데 중요합니다.

  제2형 당뇨병의 발생위험이 높은 사람이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뇨전단계 및 당뇨병 조기진단을 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것과 당뇨병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당뇨전단계의 정의

   정상도 아니고 당뇨병도 아닌 그 사이를 말합니다.

   즉 공복혈당이 100-125mg/dl 인 공복혈당장애와

   경구 당부하 후 2시간 혈당이 140-199mg/dl인 내당능 장애를 말합니다.

   미국 당뇨학회에서는 당화혈색소가 5.7-6.4%에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이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2. 무증상제2형 당뇨병과 당뇨전단계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

   2013년 미국당뇨학회에서 무증상 성인에서 당뇨병검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과체중이나 비만한(체질량지수 25kg/m²이상)모든 성인과

     아래의 위험인자 있는 경우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① 비활동적인 경우

     ② 직계가족 중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③ 당뇨병 발생 고위험군에 속하는 인종/종족

     ④ 거대아(4kg 이상)출산력

     ⑤ 고혈압 ≥ 140/90mmHg 혹은 고혈압으로 치료중인 경우

     ⑥ HDL 콜레스테롤 < 35mg/dl 또는 중성지방 > 250mg/dl 경우

     ⑦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   

     ⑧ 지난 검사에서 당화혈색소 5.7%이상, 내당능장애 또는 공복혈당 장애로

        진단된 경우

     ⑨ 인슈린 저항성과 동반된 다른 임상적 상황(예,고도비만,흑색극세포증)

     ⑩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    

      * 체질량지수란 = 몸무게(Kg)/키(M²)입니다.

  ⑵ 당뇨병 위험인자가 없는 사람은  45세 이상에서 선별검사를 합니다.

  ⑶ 결과가 정상이면 3년마다 반복검사를 하고

     전당뇨환자는 매년 검사를 합니다.

3. 적절한 검사는

   ① 공복혈장 혈당, ② 당부하 후 2시간째 포도당 농도를 측정

   ③ 당화혈색소으로 정합니다.

4. 당뇨전단계의 임상적 의의

  1) 당뇨 전 단계는 당뇨병이 될 위험이 높습니다.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 즉 당뇨전단계는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당뇨전 단계에서 당뇨병의 발생은 20-50%가 10년에 걸쳐

     발생하며, 최근 전향적 연구에서 매년 6-11%가 당뇨병으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특히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가 같이 있을 때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2) 당뇨전단계는 조기사망과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당뇨전단계는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동맥경화, 뇌졸중 및 총 사망률

     이 높습니다.

     내당능장애는 정상인에 비해 사망의 상대위험도가 1.5배 높고 심각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는 1.7배 공복혈당장애는 1.2배가 높습니다.

 

4. 결론

   당뇨전단계는 당뇨병으로 진행이 잘 되며

   심혈관질환이 될 위험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당뇨병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당뇨전단계에 대한 적절한 검사를 시행

   하여 당뇨전단게로 나오면 적절한 생활습관개선을 통하여 당뇨로 진행 혹은 심혈

   관질환을 미리 예방해야 할 것입니다.

 

                                       

                                                                                                                                                           ( DIABETES UPDATE. 청년의사)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 지침 Ⅱ. 만성 신질환 1-4단계의 위험도 구분 Ⅲ. 만성 신질환 5단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 김병광 2013.01.25 10624
24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김병광 2013.03.22 9738
24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김병광 2013.01.15 10379
24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미네랄-골대사질환 치료지침 김병광 2013.03.04 9223
24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김병광 2013.01.05 10190
24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Ⅶ. 약물요법: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Ⅷ. 약물요법: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김병광 2012.12.26 10782
24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24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23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238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237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236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235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234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233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231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230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229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228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7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