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2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돌연사란?

  건강하던 사람이나 심장병 환자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예기치 못한 심장병으로

  사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관상 동맥질환이

  가장 중요합니다.

 

1. 심장.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1)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

  ⑴ 고지혈증

     지방질은 세포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며 여러 가지 호르몬을 만드는 재료

     가 됩니다.

     그러나 지방질이 우리몸에 필요이상 많아지면 혈관 벽에 축적되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게 되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일으키게 됩니다.

    ◎ 고지혈증 진단기준

       총 콜레스테롤 200mg/dl 이상

       중성지방 150mg/dl 이상

       LDL 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

       HDL 콜레스테롤 40mg/dl 이하

    특히 고지혈증이 고혈압, 흡연과 같은 다른 위험요인과 같이 있을 때는 더

    위험이 증가됩니다.

  ⑵ 고혈압

     고혈압은 뇌졸중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며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

     증가합니다.

    ◎고혈압 진단기준

      정상혈압(mmHg) 120미만/80미만

      고혈압 전단계(mmHg) 120-139/80-89

      고혈압(mmHg) 140이상/90이상

  ⑶ 당뇨병

    ◎ 당뇨병 진단기준

       ① 당뇨병의 특징적인 증상이 있는 사람은(다음, 다뇨, 다식, 체중감소 등) 

          식사시간과 관계없이 200mg/dl 이상일 경우

       ② 적어도 8시간 이상 공복 후 혈당이 126mg/dl 이상인 경우

       ③ 경구 당 부하검사를 통한 식후 2시간 혈당이 200mg/dl 이상

      당뇨병은 심혈관질환 발생에 아주 위험한 요인입니다.

      또한 뇌혈관, 콩팥, 눈, 및 사지에 합병증을 잘 일으킵니다.

      특히 당뇨병환자가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을 할 경우에는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위험은 훨씬 더 증가합니다.

  ⑷ 흡연

     흡연을 하는 사람은 비 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높으

     간접흡연도 위험합니다.

     특히 흡연은 젊은 남녀(50세미만)에서 급성관상동맥 등후군(급성심근경색증 및

     불안정성 협심증)및 돌연사의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⑸ 비만

     비만하면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아지고 당뇨병이 발생하

     동맥경화증이 되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특히 복부비만 즉 허리둘레/엉덩이 둘레의 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은

     증가합니다.

  ⑹ 운동부족

     가벼운 운동이라도 매일 규칙적으로 하면 동맥경화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즉 운동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몸에 좋은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며

     혈압을 낮추고 당뇨와 비만을 도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교정할 수 없는 위험요인

  ⑴ 연령

     나이가 증가하면 심혈관질환의 발생이 증가합니다.

  ⑵ 성별

     관상동맥질환은 60세까지는 남자가 여자보다 위험이 높으나 폐경기 이후에

     여성의 위험도가 증가하여 남녀차이가 좁혀집니다.

  ⑶ 가족력

     부모 중에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뇌졸중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위험성이 높으므로 항상 관심을 갖고 조심해야 합니다.

   교정할 수 없는 위험요인은 어쩔 수 없지만 교정할 수 있는 것만 하여도 관상동

   맥질환의 80-90%정도는 예방할 수 있읍니다. 그러므로 약물치료와 생활습관교정을

   꾸준이 관심을 갖고 하여야 할 것입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 지침 Ⅱ. 만성 신질환 1-4단계의 위험도 구분 Ⅲ. 만성 신질환 5단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 김병광 2013.01.25 10624
24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김병광 2013.03.22 9738
24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김병광 2013.01.15 10379
24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미네랄-골대사질환 치료지침 김병광 2013.03.04 9223
24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김병광 2013.01.05 10190
24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Ⅶ. 약물요법: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Ⅷ. 약물요법: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김병광 2012.12.26 10782
24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24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23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238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237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236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234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233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232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231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230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229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228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7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