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치료 후 추적관찰

 권고적용군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

 비교지표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지 않음

 결과물

 치료 부족 및 과잉 치료의 위험도 증가

..

                               권고내용

 • 이상지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혈중 지질 농도 측정을 고려할 수 있다.

..

권고 관련 편익(Benefits)

권고(미실행) 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

(Harms and/or Adverse effects)

 • 치료 부족 및 과잉 치료의

   평가 가능

•치료 부족 및 과잉 치료의 평가 불가능

..

진료 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 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연령별 적용, 동반이환 환자인 경우, 근거가 불충분한 권고의 적용 등

 • 환자의 상태 및 제반 상황에 따라 4-12주 이내 또는 이후에

   지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5. 치료 후 추적관찰 ②

 권고적용군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혈중 간효소 수치를 측정

 비교지표

 혈중 간효소 수치를 측정하지 않음

 결과물

부 작용 위험도 증가

..

                               권고내용

 •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혈중에서 간효소 수치 측정을

   고려할 수 있다.

..

권고 관련 편익(Benefits)

권고(미실행) 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

(Harms and/or Adverse effects)

 • 간 관련 부작용 조기 파악

 • 간 관련 부작용 조기 파악 못함

..

진료 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 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연령별 적용, 동반이환 환자인 경우, 근거가 불충분한 권고의 적용 등

 • 다른 원인의 간효소 수치 상승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스타틴 복용 후 간효소(AST/ALT)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하면 수 일 내지 수 주 이내에 간효소 수치를 다시 검사

   하고 계속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되어 있으면 투약을 중단한다.

..

 대학/종합병원 진료의뢰가 혹은 응급의료센터로 후송이 필요한 상황 및

 위기관리

 •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도중 혈중 간효소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대학/종합병원으로 진료 의뢰할 것을 고려한다.


5. 치료 후 추적관찰 ③

 권고적용군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후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혈중 근육효소(Creatine Kinase,CK)를 측정

 비교지표

 혈중 근육효소를 측정하지 않음

 결과물

 부작용 위험도 증가

..

                             권고내용

 •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과정 중에 근육 관련 증상(근육통, 근쇠약감)을

   호소할 경우 근육효소(CK) 수치 측정을 고려한다.

..

권고 관련 편익(Benefits)

권고(미실행) 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

(Harms and/or Adverse effects)

 • 근육 관련 부작용 조기 파악

 • 근육 관련 부작용 조기 파악 못함

..

진료 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 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연령별 적용, 동반이환 환자인 경우, 근거가 불충분한 권고의 적용 등

•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중 근육 관련 증상에 대한 문진을 고려해야 한다.

• 다른 원인*으로 근육 효소 수치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운동, 갑상선기능저하증, 스테로이드제제를 포함한 일부 약물, 알콜 등)

• 스타틴 복용 후 근육통, 근쇠약감은 스타틴 복용 중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증가되면 투약을 중단한다.

• 근육 관련 증상을 호소하나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미만일 경우는

  스타틴을 중단하고 2~4주 후 다시 투여해 볼 수 있다.

  동일한 증상이 나오면 다른 스타틴, 저용량, 2일에 1번 또는 1주에 2번

  복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초고위험군 환자에서는 스타틴을 중단하지 말고 이런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투약할 것을 고려한다.

• 근육 관련 증상을 호소하고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4∼10배인 경우는

  근육 관련 증상과 CK 수치가 정상화 될 때까지 스타틴을 중단한다.

  이후 저용량의 다른 스타틴, 2일에 1번 또는 1주에 2번 복용 등의 방법을

  CK 수치를 추적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

 대학/종합병원 진료의뢰가 혹은 응급의료센터로 후송이 필요한 상황 및

 위기관리

 •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도중 혈중 근육효소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대학/종합병원으로 진료 의뢰할 것을 고려한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Ⅴ.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요법 - 2. 약제의 병용요법

  2.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Ⅴ.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요법 - 1. 약제의 선택기준

  3.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 - 3. 기타 생활요법

  4.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요법 - 2.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

  5.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요법 - 1. 이상 지질혈증을 위한 식사요법

  6.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5. 치료 후 추적관찰

  7.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4.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방법

  8.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3.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9.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2.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10.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11.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12.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3. 이상지질혈증의 진단기준

  13.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2. 이상지질혈증의 진단방법

  14.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1. 이상지질혈증의 선별대상

  15.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Ⅰ. 서론

  16.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

  17.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18.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19.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②

  20.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①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