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2. 이상지질혈증의 진단방법

by 김병광 posted Sep 10,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이상지질혈증의 진단방법

권고적용군

모든 이상지혈증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 LDL-C 검사

비교지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 LDL-C 검사 미시행

결과물

이상지혈증 진단

..

                             권고내용

 •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 및 LDL-C 측정을 권고한다.

 • 중성지방이 400 mg/dL 이상인 경우 LDL-C 직접측정을 권고한다.

..

권고 관련 편익

권고(미실행) 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

• 정확한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평가

•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평가 어려움

..

진료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 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연령별 적용,동반이환 환자인 경우,근거가 불충분한 권고의 적용 등)

 • Non-HDL-C* 와 아포B(apo B)는 복합고지혈증, 당뇨병, 대사증후군,

   만성콩팥병 등에서 심뇌혈관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이 고려된다.

  (* 총콜레스테롤에서 HDL-C를 뺀 수치로 모든 죽종형성 지질단백질

     (LDL+ VLDL + IDL)을 반영하며 apo B와 관련 성이 좋다.)

 • LP(a)는 조기 심뇌혈관질환의 병력이 있거나 고위험군 상태에서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이 고려된다.

 • 지질검사중 LDL-C는 혈액 채취 전 반드시 공복상태일 필요는

   없으나,중성지방은 최소 12시간의 공복이 필요하다.

 • 이차성 이상지질혈증의 가능성이나 치료 중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음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

   - 공복혈당, 갑상선기능검사, 혈청 크레아티닌(eGFR), 혈압,

     약물력,질병력 조사

 •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고감도 C-반응단백(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경동맥 내중막두께(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또는 관상동맥석회화점수(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e)

   를 고려할 수 있다.


Articles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