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8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수술

  1) 전처치

    ⑴ 갑상선 기능항진증 치료를 위해 갑상선 절제술을 하게 될 경우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항갑상선제 치료로 정상 갑상선기능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수술 직전에는 요오드화칼륨(KI)도 투여해야 합니다.

    ⑵ 수술 전에 정상 갑상선기능에 도달하도록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

        (응급수술, 항갑선제 부작용 등)는 수술 전에 베타차단제 및 요오드화

       칼륩으로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 항갑상선제로 전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수술이나 마취에 의한 스트레스,

       수술 시 갑상선의 조작에 의해 갑상선 중독발증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수술 직전에 요오드화칼륩, SSKI 또는 무기요오드 치료도 필요합니다.

       루골용액 혹은 SSKI는 수술전 10-14일 투여합니다.

       응급 수술 등의 경우 코르티고스테로이드르 투여하면 빠르게 전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2) 수술방법

    ⑴ 그레이브스병의 치료를 위해 갑상선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근전절제술

       또는 전절제술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⑵ 그레이브스병의 치료를 위해 갑상선절제술을 시해할 경우 경험이 많은

       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수술 후 치료

    ⑴ 갑상선절제술 후에는 혈청칼슘치 및 intact PTH를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칼슘 및 칼시트리올 치료를 시행합니다.

       - 저칼슘혈증에 의한 증상이 없고 혈청칼슘치가 7.8mg/dl 이상을

         유지하면 치료가 필요없습니다.

       - 혈청 단백 또는 알부민치가 정상 범위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온화된 칼슘치를 검사하거나 알부민치를 보정한 칼슘치를 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수술 후 저칼슘혈증이 지속되는 경우 intact PTH를 측정하여 영구적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인지를 평가해야 하면, 혈청 칼슘치 대비

         부갑상선 호르몬치가 적절하다면 비타민 D및 칼슘 보충치료를 감량해

         나갑니다. 비타민 D는 혈청칼슘치나 부갑상선호르몬치에 따라

         증량하거나 감량하도록 합니다.

      ⑵ 갑상선 절제술 시 항갑상선제는 중단하여야 하며 베타차단제는

         수술 후 중단합니다.

      ⑶ 갑상선절제술 후 갑상선호르몬제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절절한 용량

          (1.7ug/kg) 으로 시작하며 수술 후 6-8주에 혈청 TSH를 측정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4.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 시 대처방법 3 김병광 2016.09.25 4945
28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28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28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28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28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28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28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27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27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27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27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27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27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27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27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27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27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26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26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