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7.07 02:33

당뇨전단계 - 2

조회 수 181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당뇨전단계의 관리

  당뇨전단계는 당뇨병 발병의 위험도가 3-10배, 당뇨병 발병 이전이지만 미세혈관

  합병증(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등)이 진행되고 심혈관질환(심근경색증

  등)위험도가 정상의 2배 이상 높아 집니다.

  그러므로 당뇨전단계에서 당뇨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즉 당뇨전단계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함으로서써 당뇨병으로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당뇨병의 합병증인 미세혈관 합병증이나 심혈관 질환의 위험

  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1. 당뇨전단계의 관리 목표

   ① 당뇨병이 되는 것을 예방하고

   ②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춰야 합니다.

2. 당뇨전단계의 관리

  1) 생활습관 개선(식사조절과 운동)

     엄격한 생활습관 개선이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 방법으로 당뇨전단계 관리의

     기초가 됩니다.

     즉 당뇨병으로 가는 진행을 막고 미세혈관 및 대혈관합병증(중풍, 심근경색증

     등)을 줄일 수 있으며 대사증후군, 비만, 고혈압, 이상지혈증 등 모든 질환에

     효과가 있습니다.

     당뇨전단계 예방연구(DDP)결과 식사조절과 1주에 150분간의 중등도 운동(약간 

     숨이 차게)으로 체중의 7% 감량이 목표인 생활습관군에서 58%, 메트폴민 약물

     을 사용한 사람들은 31%가 당뇨병 발생이 감소되었으며 10년 장기 관찰 시에도

     생활습관개선군에서 34%, 메트폴민 사용한 환자에서는 18%가 예방되었습니.

     그러므로 생활습관 개선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약물요법

     ① 혈당강하제 - 메트폴민, 아카보스, 로지글리타존, DDP4억제제 등이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다고 하나 아직까지는 승인되지는 않고 있습니

                    다.

     ② 지질개선제 - 당뇨전단계에서 아직까지 지질의 조절목표가 확립되지 않았 

                    습니다.

     ③ 혈압강하제 - 당뇨전단계에서는 혈압의 목표치가 역시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3) 추적관찰

     공복혈당, 경구당부하검사 및 당화혈색소 검사와 미세단백뇨검사, 지질검사

     혈압측정 등 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4. 결론

   당뇨전단계의 환자는 매년 5-10% 정도가 당뇨병으로 진행되며 당뇨전단계부터

   당뇨병환처럼 미세혈관질환 및 심혈관질환이 발생이 증가하므로 생활습관개선을

   철저히 하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여 미리 당뇨병과 합병증을 막아야 할 것입니

   다.

 

                                            (DIABETES UPDATE.청년의사)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08 389
446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김병광 2019.08.17 389
445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7 391
444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3. 한국인의 지질 농도 분포 김병광 2019.08.03 402
443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5 409
442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2. 치료기준 김병광 2019.08.06 409
441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3. 경과 모니터링 김병광 2019.08.07 410
440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2장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기준 1. 진단 방법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9.08.03 564
4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43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4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43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4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4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43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4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43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4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42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4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