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11.07.06 05:22

당뇨전단계 - 1

조회 수 187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2형 당뇨병이 진단되기 전에 무증상 기간이 장시간 존재하는 경우가 흔하여 심지어 당뇨병성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도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뇨병의 조기진단이 당뇨병과 당뇨병에 이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데 중요합니다.

  제2형 당뇨병의 발생위험이 높은 사람이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뇨전단계 및 당뇨병 조기진단을 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것과 당뇨병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당뇨전단계의 정의

   정상도 아니고 당뇨병도 아닌 그 사이를 말합니다.

   즉 공복혈당이 100-125mg/dl 인 공복혈당장애와

   경구 당부하 후 2시간 혈당이 140-199mg/dl인 내당능 장애를 말합니다.

   미국 당뇨학회에서는 당화혈색소가 5.7-6.4%에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이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2. 무증상제2형 당뇨병과 당뇨전단계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

   2013년 미국당뇨학회에서 무증상 성인에서 당뇨병검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과체중이나 비만한(체질량지수 25kg/m²이상)모든 성인과

     아래의 위험인자 있는 경우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① 비활동적인 경우

     ② 직계가족 중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③ 당뇨병 발생 고위험군에 속하는 인종/종족

     ④ 거대아(4kg 이상)출산력

     ⑤ 고혈압 ≥ 140/90mmHg 혹은 고혈압으로 치료중인 경우

     ⑥ HDL 콜레스테롤 < 35mg/dl 또는 중성지방 > 250mg/dl 경우

     ⑦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   

     ⑧ 지난 검사에서 당화혈색소 5.7%이상, 내당능장애 또는 공복혈당 장애로

        진단된 경우

     ⑨ 인슈린 저항성과 동반된 다른 임상적 상황(예,고도비만,흑색극세포증)

     ⑩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    

      * 체질량지수란 = 몸무게(Kg)/키(M²)입니다.

  ⑵ 당뇨병 위험인자가 없는 사람은  45세 이상에서 선별검사를 합니다.

  ⑶ 결과가 정상이면 3년마다 반복검사를 하고

     전당뇨환자는 매년 검사를 합니다.

3. 적절한 검사는

   ① 공복혈장 혈당, ② 당부하 후 2시간째 포도당 농도를 측정

   ③ 당화혈색소으로 정합니다.

4. 당뇨전단계의 임상적 의의

  1) 당뇨 전 단계는 당뇨병이 될 위험이 높습니다.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 즉 당뇨전단계는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당뇨전 단계에서 당뇨병의 발생은 20-50%가 10년에 걸쳐

     발생하며, 최근 전향적 연구에서 매년 6-11%가 당뇨병으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특히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가 같이 있을 때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2) 당뇨전단계는 조기사망과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당뇨전단계는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동맥경화, 뇌졸중 및 총 사망률

     이 높습니다.

     내당능장애는 정상인에 비해 사망의 상대위험도가 1.5배 높고 심각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는 1.7배 공복혈당장애는 1.2배가 높습니다.

 

4. 결론

   당뇨전단계는 당뇨병으로 진행이 잘 되며

   심혈관질환이 될 위험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당뇨병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당뇨전단계에 대한 적절한 검사를 시행

   하여 당뇨전단게로 나오면 적절한 생활습관개선을 통하여 당뇨로 진행 혹은 심혈

   관질환을 미리 예방해야 할 것입니다.

 

                                       

                                                                                                                                                           ( DIABETES UPDATE. 청년의사)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4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3 김병광 2015.07.21 5757
45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2 김병광 2015.07.21 6243
44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4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Ⅱ. 당뇨병환자의 4가지 관리목표 수립하기 김병광 2015.07.17 5561
4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4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4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1 김병광 2015.07.17 5655
39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정리 김병광 2015.07.05 5382
38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합병증 (2) 김병광 2015.07.04 5290
37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합병증 (1) 김병광 2015.07.04 5022
36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목적과 목표 김병광 2015.07.01 5523
35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2) 김병광 2015.07.04 5511
34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치료 (1) 김병광 2015.07.04 5320
33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의 종류와 원인 김병광 2015.07.01 5227
32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환자의 동반된 위험요인 평가 김병광 2015.07.01 5022
31 고혈압 2014년 고혈압 관리 지침서(환자용) - 고혈압 알기 김병광 2015.06.29 5468
3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확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925
2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김병광 2013.11.18 7548
2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김병광 2013.11.18 8266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