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5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심장, 뇌혈관 질환의 주요증상

1.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

 1) 협심증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발생합니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동맥경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관상동맥

    경련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혈관이 좁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장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혈액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육체적 활동

    이나 정신적 긴장으로 심장활동이 증가하면 흉통이 옵니다.

 2) 심근경색증

    심장에 가는 관상동맥이 찌거기로 완전히 막히거나 경화부위(경화반)가 갑자기

    터지면 혈액공급이 중단되어 심장 근육이 괴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때는 찢어지는 듯한 흉통이 안정 시에도 오며 심장이 일을(수축을) 못해

    돌연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3) 심부전

    심장이 혈액이 부족한 상태나 심근괴사로 인해 심장이 수축기능이 감소하면

    폐에 물이차고 호흡곤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4) 대동맥 파열(대동맥 박리증) 및 확장(동맥류)

    대동맥이 동맥경화증이 오면 혈관의 탄력이 떨어져 급격한 혈압 상승이 발생

    수 있고 이때 대동맥이 파열하거나 확장하게 됩니다. 대동맥 파열이 발생하

    등 쪽으로 퍼지는 심한 흉통이 오는 것이 특징이며 치사율이 높습니다.

 5) 고혈압

    고혈압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침묵의살인자라 불리웁니다.

    그러나 고혈압을 방 치하면 뇌(중풍), 눈, 심장(협심증, 심근경색증이나

    심부전), 콩팥(만성신부전)에 합병증이 일으키게 됩니다.

    증상이 일어나면 이미 말기 합병증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6) 심장마비를 알리는 징후(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① 가슴 복판이 조이고 답답할 때

    ② 가슴 복판을 바위가 우루는 것 같은 불쾌감이 수분이상 지속 될 때

    ③ 가슴통증이 어깨나 목, 팔로 뻗칠 때

    ④ 가슴 복판이 찢어지는 것 같은 통증이 있을 때

    ⑤ 가슴이 아프면서 어지럽거나 식은 땀, 구역질, 호흡곤란이 동반 될 때

2. 뇌혈관 질환(뇌졸증)의 증상

   뇌졸중은 중풍이라 불리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심하면 생명을 잃거나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 휴유증이 일어나는

   무서운 병입니다.

 1) 일과성 뇌허혈

    뇌동맥이나 경(목)동맥이 좁아지거나 일시적으로 그곳에 미세혈전에 의해 막혀

    어지러움, 언어장애, 운동장애, 감각장애, 시력장애 등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2) 뇌경색, 뇌출혈

   ⑴ 뇌경색 - 뇌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사지의 운동장애(편마비), 언어장애,

               연하장애(잘 삼키지 못하는 것), 의식장애가 남게 되는 질환입니다.

   ⑵ 뇌출혈 - 뇌혈관이 터져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3) 뇌경색을 알리는 징후

   ① 신체의 반쪽 얼굴, 팔 혹은 다리 기운이 약해지거나 못쓰게 되고 저릴 때

   ② 한쪽 눈이 갑자기 흐려지거나 안보일 때

   ③ 말이 잘 안 나오고 어눌해 질 때

   ④ 특별한 원인 없이 갑자기 심한 두통이 있을 때

   ⑤ 이유없이 현기증이 발생하여 휘청거리거나 넘어질 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4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4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4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4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4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4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2. 본론 3. 요약 김병광 2018.02.19 2131
4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3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3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3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Ⅳ. 식생활 - 1. 본론 1) 적정체중을 유지할 정도의 음식섭취를 한다 2) 지방 김병광 2018.02.15 2143
3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0 2166
3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김병광 2018.02.20 2168
3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3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3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3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1 2217
3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3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김병광 2018.02.22 2243
3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