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3. 고혈압의 분류
   1)  본태성 고혈압
       원인 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로 95%정도입니다.
   2) 이차성 고혈압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는 고혈압을 말합니다.

4. 고혈압이 있으면 우리 몸의 어느 곳이 나빠질까요?
    뇌, 눈, 심장, 신장, 말초혈관질환 등 5가지가 있으며 이를 표적 장기라 합니다

5. 고혈압 약 복용 시 어느 정도 이익이 있을 까요
   ① 뇌졸중발생률은 35~40% 감소됩니다.
   ② 심근경색은 20~25% 감소됩니다.
   ③ 심부전발생률은 50% 감소됩니다.

6.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는 무엇일까요?
   ① 고혈압의 정도
   ② 흡연
   ③ 당뇨
   ④ 이상지혈증
   ⑤ 나이(남자 45세 이상, 여자 50세 이상)
   ⑥ 조기 심혈관질환의 가족력(남자<55세, 여자 < 65세)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복부비민이 있고, 노인들에서는 맥압차가 클수록 위험도가 올라 갑니다.

7. 왜 고혈압 약을 복용하였는데 합병증을 다 막을 수 없을까요
   고혈압 환자는 혈압 말고도 합병증을 일으키는 다른 위험인자(6. 위험인자)가 있기 때문 입니다.
  * 위험인자에 따른 10년 내 심혈관 위험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저위험 – 15%이내(위험 인자 없음)
     ② 중위험 – 15~20%(위험인자1~2개)
     ③ 고위험 – 20~ 30% (위험인자 3개 이상가지고 있거나, 당뇨병이 있거나
                 표적장기 장애 1개 이상 예를 들어 중풍이나 심장병은 아직 오지
                 않았으나 진행되고 있는 환자를 말합니다.)
     ④ 초고위험 – 30%이상(동반된 임상 상태 즉  이미 중풍, 심근경색 등이 온
                 환자를 말 합니다.)

8. 그러면 어떻게 하여야 합병증 또는 표적장기 장애를 막을 수 있을까요
   적정하게 혈압을 낮추어 주고 위험인자를 같이 조절(치료)해주며 생활습관을 개선할 때
   심혈관질환을 80-90%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즉 혈압 말고도 당이나 이상지혈증, 금연 및 복부비만을 줄여주면 합병증이  줄어듭니다.

9. 심혈관질환의 4대 위험인자는 무엇이며 4대 위험인자를 같이 조절해주면 합병증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을 까요?
   또 생활습관 개선을 같이 해주면 어느 정도 예방 할 수 있을 까요?
  ◇ 4위험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혈압, 이상지혈증, 흡연,  당뇨로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핵심적인 것입니다.
  ◇ 4대 위험인자를 같이 조절해 주면 심혈관질환은 84%, 뇌졸중은 66%예방 할 수
     있습니다.
  ◇ 생활습관 개선을 추가해주면 심혈관질환은 80-90% 정도 막을 수 있습니다.

10. 그러면 중풍이오면 어떻게 하여야 할가요?
      정상인 뇌는 100g에 1분간 50ml 피 흐름니다.
      1분에 10~20ml로 떨어지면 뇌세포기능 정지되나 혈관이 막힌게 뚫리면 기능회복이 됩니다.
      그러나 1분에 10ml이하로 2~3시간 지속 되면 →  뇌세포가 완전 파괴 됩니다.
      늦어도 6시간 내로 막힌 혈관을 뚫어야 한다.  
      time is brain입니다
      즉 얼마나  치료하는 병원에 빨리 가느냐 가 반신불수가 되느냐 안되느냐 결정적인 요소 입니다.
      심근경색도 마찬가지 입니다. 얼마나 빨리 가느냐 가 예후를 결정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2. 고혈압 운동요법

  3.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4. 고혈압 2( 고혈압 분류/고혈압의 표적장기란?/고혈압 약을 복용시 이점/고혈압 위험인자 등 등

  5. 고혈압 1(고혈압이란? 혈압측정 방법 은?)

  6.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7.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8.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9.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10.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11.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12.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13.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14.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15.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16.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17.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18.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19.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20.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