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7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런 질환은 나이가  들은사람이 많이 일어나지요. 저도 예외는 않입니다
우리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더욱더 건강한 몸으로
남은 여생 남에게 신세를 지지 않고 멋지고 즐겁게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  부끄럽지만 ...
그래도 우리 자신에게는 최선은 못하였더라도 그렇저렇 노력은 하면서
인생을 살았더라고 ...    그렇게 하도록 노력해 봐야지요.

제목: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의 운동처방의 기본

* 운동량 결정을 위한  5가지 요소                        .                            
   운동 빈도   얼마나 자주                    주당 3~5일
   운동 강도   얼마만큼의 강도로          최대 심박수의 40~60%  
   운동 시간   얼마나 오랫동안             15~45분 시작하여 60분
   종목           어떤 종류의 운동을        걷기, 자전거, 수영 등
                                                         그러나 유산소 운동, 근력운동, 발란스운동, 유연성운동  등
                                                         4가지를 다 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 지금 당신은                                     즐거워야 계속 하죠/대부분 3개월내로 1/2은 운동이 즐겁지
                                                         않으면  탈락합니다. 어느정도 체력이 안정되면 자신이 좋아하
                                                         는 운동으로 바꿔서 하시면 됩니다                  

* 만성질환자의 운동처방의 기본
① 고혈압 : 혈압이 조절되는 경우 운동을 해야 합니다.
                과다하게 하지 말며 웨이트레닝은 혈압이 상승이 되므로  조심해야 됩니다.
② 당뇨병 :  합병증이 있을 때 운동을 삼가야 하며 운동을 하되 식후에 하고 저혈당이 오지 않게 무리하
                  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없는 사람은 일정한 시간에 하되  공복 시에는(새벽  아침
                  운동 등)간단한 음식을 섭취하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허혈성 심질환 : 체중조절보다는 식사요법에 주안점을 두고 운동은 아주 조심스럽게 하여야 하며 중
                  년이후는 체중 감량보다 유지에 목표를 두어 걷거나 산책 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골관절염: 체중감량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하나 무릎 이나 발목 등의 관절에 동통이 심하므로 수영 물속
                   에서 걷기 등이 좋습니다.
⑤ 골다공증: 체중부하가 있는 운동이 좋습니다.
                   걷기, 산책, 런닝머신 등이 좋으나 근력운동을 심하게 하거나  점프 같은 충격이 심한 운동
                   은 압박골절이 오기 쉬우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그래도 무리가 안된다면 근력운동이나 점프같은 부하운동이 공다공증에 효과는 좋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446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445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444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44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44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44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440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439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438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37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36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35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34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33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43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8
43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430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29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28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