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치료기준

1) 새로운 한국인에서의 치료 기준

  LDL 콜레스테롤에 대한 치료지침

.1 위험도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른 치료의 기준

위험도

 

LDL 콜레스테롤 농도(mg/dl)

< 70

70-99

100-129

130-159

160-189

190

초고위험군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성허혈뇌

    졸중 및 일과성 뇌

    허혈발작

    말초동맥질환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고려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교정 및

약 시작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시작

고위험군

    경동맥질환

    복부동맥류

    당뇨병

생활습관

교정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고려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중등도 위험군

    주요위험인자 2

    이상

생활습관교정

생활습관교정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고려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저위험군

    주요위험인자 1

    이하

생활습관교정

생활습관교정

생활습관교정

생활습관교정 및

투약 고려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 시작

* 급성심근경색증은 기저치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상관없이 바로 스타틴을 투약합니다.

* 심근경색증 이외의 초고위험군의 경우에 LDL 콜레스테롤70mg/dl미만에서도 스타틴 투약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경동맥 질환은 유의한 경동맥 협착이 확인된 경우입니다.

* 표적장기 손상 혹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 따라서 위험도를 상향

    조절 할 수 있습니다.

* 중등도 위험군과 저위험군의 경우는 수주 혹은 수개월간 생활습관 교정을 시행한 뒤에도 LDL 콜레

   스테롤 농도가 높을 때 스타틴 투여를 고려합니다.

 

- 기존의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관상동맥질환, 말토동먁질환, 죽상경화성 허혈뇌

    졸중 및 일과성허혈발작)은 초 고위험군으로 따로 분류하여, 이 경우 이차 예방을

    위하여 LDL 콜레스테롤 70mg/dl 미만 혹은 기저치보다 50% 이상 목소를 목표로 하

    는 것을 권고합니다.

- 2018AACE/ACE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을 가지는 환자로서

   LDL 콜레스테롤이 70gm/dl 미만으로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죽상동맥경화성심혈

        관이 진행하는 경우 

   당뇨병환자

   만성콩팥병 3, 4기 환자

   이형접합 가족성 코콜레스테롤혈증 환자

   조기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병력(남자 55세 미만, 여자 65세 미만)이 있

         는 환자는 극초고위험위험군(extreme risk)으로 분류하여 LDL 콜레스테롤 목표

         치를 55mg/dl미만으로 낮출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 2 위험도 분류에 따른 LDL 콜레스테롤 및 non-HDL 콜레스테롤의 목표치

위험도

LDL 콜레스테롤

(mg/dl)

Non-HDL 콜레스테롤(mg/dl)

초고위험군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성 허혈뇌졸중 및

    일과성 뇌허혈발작

    말초동맥질환

고위험군

    경동맥질환

    복부동맥류

    당뇨병

중등도 위험군

    주요위험인자 2개 이상

저위험군

    주요위험인자 1개 이하


 

 

    < 70 

 

 

 

 

< 100

 



< 130


<160


 

   

     < 100

    

   

 


  

 < 130 




 < 160


 < 190

* 경동맥질환은 유의한 경동맥 협착이 확인된 경우압나다.

* 표적장기 손상 혹은 심혈관질환의 주요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 따라

    서 목표치를 하향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위험인자는 연령(45, 55), 관상동맥질환 조기발병가족력

  고혈압, 흡연, HDL 콜레스테롤입니다.

 

. 3 L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심혈관질환의 주요위험인자

연령

  남자 45, 여자 55

    관상동맥질환 조기 발병의 가족력

  부모, 형제자매 중 남자 55세 미만, 여자 65세 미마네서 관상동맥질환이

  발병한 경우

고혈압

  수축기혈압 140mmHg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흡연

HDL 콜레스테롤( < 40 mg/dl)

* HDL 콜레스테롤( 60 mg/dl)은 보호인자로 간주하여 총위험인자 수에서 하나를 감하게 됩니다.

그러나 표.3에 있는 주요위험인자로 평가하는 것은 실제 심혈관질환의 절반정도만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비만, 신체활동, 식습관, 중성지방, Hs CRP, lipoprotein(a), appoprotein, fibrinogen, homosistein, apoprotein B, ankle-brachial pressure index, carotid intiml medial thickkness(50%미만의 협착이지만 임상적으로 진행 소견이 보이거나 동맥경화반이 동반된 경우), coronary calcium score 등의 다른 위험인자들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목표를 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 4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2 김병광 2015.07.17 5511
42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Ⅰ. 당뇨병 알기: 3 김병광 2015.07.17 5546
425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Ⅱ. 당뇨병환자의 4가지 관리목표 수립하기 김병광 2015.07.17 5561
424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1 김병광 2015.07.20 5429
42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2 김병광 2015.07.21 6243
42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3 김병광 2015.07.21 5757
42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4 김병광 2015.07.22 5458
420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5 김병광 2015.07.22 5604
419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1 김병광 2015.07.22 5909
418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2 김병광 2015.07.23 6038
41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28
41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82
415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26
414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6 김병광 2015.07.24 6056
41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Ⅴ. 응급상황 판단하고 대처하기 김병광 2015.07.24 5932
412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Ⅰ. 서론 김병광 2015.09.10 4942
411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1. 이상지질혈증의 선별대상 김병광 2015.09.10 5009
410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2. 이상지질혈증의 진단방법 김병광 2015.09.10 5228
409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3. 이상지질혈증의 진단기준 6 김병광 2015.09.10 5947
408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2 47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