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한국인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과 위험도 평가

 - 심혈관계질환은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 다요인질환입니다.

      죽상경화성 심혈관지환의 위험요소들은

          유전요인

          사회환경요인(소득, 교육수준, 거주지역 등),

     생활습관요인(흡연, 운동부족, 잘못된 식습관 등),

     대사요인(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치료관점에서는

          개선 가능한 위험요인인 생활습관개선과 약물치료가 있고,

     개선 불가능한 위험요인인 성, 연령, 유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에 중요한 4가지 위험요인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이 대표

   적입니다.

      이외에도 가족력, 고령, 운동부족, 비만, 만성염증, 혈액응고이상, 대사증후

       군, 우울증과 스트레스 등도 심혈관계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한국인의 심뇌혈관계질환에 가장 많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위험요인은

            남자에서 고혈압, 흡연,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순으로 확인 되었고 이 4가지

            의 기여위험도는 64%에 달합니다.

            여자의 경우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병, 흡연 순입니다.

 - 흡연과 이상지질혈증은 뇌혈관질환보다는 관상동맥질환과 연과성이 더 높으며  

      고혈압은 뇌혈관질환 특히 뇌출혈과의 관련성이 더 높습니다.

   특히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이상지질혈과 당뇨병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관상동맥질환이 대표적인 심뇌혈관질환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한사람이 여러 가지 심혈관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을 때 개인의 질병발생확률을

   계산하는 시도가 위험도 평가입니다. 개별환자를 대상으로 최선의 예방 혹은

   치료방법을 선택하려면 여러 대안들의 이득과 위험을 비교하여야 하는데 이 비

   교평가에 꼭 필요한 정보가 위험도평가이므로 임상의사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것

   입니다.

      대표적인 Framingham Risk Score 는 연령, , 혈청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

      테롤, 혈압, 당뇨병, 흡연 등 7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10년간 관상동맥질환 위험도

      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Recalibrated Framingham risk equation Korean Heart

   Study(KHD)의 위험도 모형이 개발하기도 하였습니다.

                                                        


                                                                                                                                           출처.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 4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26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25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3
424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23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22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21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20 당뇨병 22. 당뇨병성콩팥병의 예방은? 김병광 2011.10.04 20632
419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418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417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416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415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414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413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412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411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410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409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408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