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① 내막매질 두께

        경동맥 두께는 총경동맥, 내경동맥 또는 내경동맥 팽대부에서 측정될수 있습니

        다.

    대부분 총경동맥에서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수검자 혈관의 해부학적 형태

        와 초음파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내경동맥과 내경동맥 팽대부에서 더 효과적으

        로 측정되기도 합니다.

  ② 초음파 기기의 조절

        초음파 탐촉자는 7MHz 이상이 권고되고, 고해상도 B 모드 시스템을 이용해 측정합

        니다.

    30~40mm깊이로 초점을 맞추고 최적의 프레임 속도를 25Hz로 하는 것이 가장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③ 측정위치

        내막피막 두께 측정은 두 줄의 형태가 선명하게 관찰되는 플라크가 없는 부위에서

        측정합니다.

        총경동맥 끝나는 부위에서 최소 5mm 떨어진 총경동맥의 먼 쪽에서 측정하는 것이  

        초음파 시술자와 수검자에 따른 부정확성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내막 피막 두께는 경동맥 분기 및 팽대에서 측정할 수 도 있는데 이때는 해부학적

        변이가 많고 혈관의 리모데링이 잘 일어나므로 검사자에 다른 부정확한 측정값이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혈관이 직선으로 10mm 이상 뻗은 부위에서 짧게 측정하여 내피막두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구불거리는 혈관(특히 경동맥 분기 및 팽대부)의 경우 짧게 측정하여 내피막두께

        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④ 내막매질 두께의 계산

        자동화된 시스템은 10mm길이 총경동맥의 150회 측정값의 평균을 제공합니다.

        내막매질 두게 측정값은 평균값과 최대값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좌측 경동맥 내막두께가 우측보다 더 두텁지만 좌/우측 매질 두께의 평균값 

        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⑤ 플라크는 위치, 두께, 세로축/가로축 검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히 검사를 표기해야 합니다.

        플라크란 내강-내막 경계면과 매질-외막 경계면 사이의 거리가 1.5mm 이상인

                               경우

             동맥 내강으로 0.5mm 이상 나온 경우

             주변내강 두께 값의 50% 이상을 잠식한 경우로 정의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446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8
445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444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44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44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44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440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439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438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37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36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35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34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33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43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8
43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430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29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28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