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내막매질 두께 측정을 권고하는 진료지침

      들이 있습니다.

1) 진료지침 응용

   (1) 미국심장학회재단/미국심장협회(ACCF/AHA)

    2010년도 진료지침 중에 중간위험성(10년 심장혈관 사건 위험성 6~20%)의 사람

       에서 심뇌혈관질환 위험 평가를 위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권고한다고 하였습니

       다.

       하지만 2013년도에 개정안에는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 측정의 질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와 Framinggham risk score를 이용한 심외혈관질환 위험도 평가에서 추가적

       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제한적이라는 이유로 2013년도 지침에는 죽상경화성

       심장혈관질환의 위험성 평가를 위해 일상적인 경동맥내막매질 두께의 측정을 권고

       하지 않는다(권고강도 <권고하거나 반대하지 않는다.>)로 권고등급을 변경하

       였습니다.

 (2) 유럽고혈압학회/유럽심장학회(ESH/ESCC)

    2013년 유럽고혈압학회/심장학회에서는 고혈압 지침에서 고혈압환자(특히 노인

       의 경우)에서 무증상의 죽상동맥경화증을 검사하기 위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이용

       해 경동맥매질 두께 및 플라크측정을 권고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 유럽심장학회의 심혈관질환 예방지침에서도심장혈관질환의 위험

        평가를 위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죽상경화성 플라크 검사가 고려될 수 있

        다."고 권고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단순히 심장혈관질환 위험 평가를 위해 경동맥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내막매질두께 일상적 선별검사는 권고되지 않습니다.

        위와같이 몇몇 진료지침의 권고와 마찬가지로 경동맥초음파는 일산적인 선별검사

        로 권고되지 않지만

        다음의 위험인자를 갖는 무증상 환자에서는 심뇌혈관질한 위험성의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경동맥 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는 적응증

1. 중간 위험성으로 평가되는 사람

      ⦁ 진단된 관상동맥질환이 없고 Framingham risk score 6~20%

      ⦁ 말초동맥질환 환자

      ⦁ 뇌혈관질환 환자

       ⦁ 복부 대동맥류 환자

       ⦁ 당뇨병 환자

2. 다음의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

       ⦁ 유전성 이상지질혈증 등의 질환이 있는 60세 미만의 사람

       ⦁ 2개 이상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있는 60세 미만의 여성

3.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 남성 55세 미만, 여성 65세 미만

 

     2000년도 이후 몇몇 진료지침에서는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한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측정이 안정하고 비침습적이며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45세 이상

         무증상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증을 평가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아직 대부분

          의 임상진료지침에서는 일부의 경우에만 경동맥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306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305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30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30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30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확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925
30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김병광 2013.11.18 8266
30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김병광 2013.11.18 7548
29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29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755
297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20 7984
296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616
295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9640
29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346
29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3 9780
29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3 8263
29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290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3 김병광 2015.04.09 9728
289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김병광 2015.04.10 8434
288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김병광 2015.04.11 988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