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2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경동맥내막매질두께는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대리표지자로 인식되고 임상현장에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경동맥플라크는 심뇌혈관질환 위험성평가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동맥벽은 죽상경화로 인한 무증상의 변화들이 먼저 발생한 후 현성의 심뇌혈관질환

      을 유발시킵니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비침습성 검사를 이용하여 죽상경화성변화를 초기에 예측하고

      심뇌혈관의 발생을 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자기공명영상(MRI)나 컴프터단층촬영(CT)등도 사용될 수 있지만 경동맥초음파가

      이용하기 쉽고 심뇌혈관예측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면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관 평활근 비대와 증식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증상의 지저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일상적인 경동맥초음파 선별검사는 권

      고되지 않습니다.

      경동맥 내막매직 두께의 절단점은 대개 인구집단의 75백분수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국내에서는 이등이 시행한 45~74세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75백분 수위

      의 총경동맥 절단점을 남자 0.821mm, 여자 0.778mm로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총경

      동맥의 내막매질두께는 남녀 모두에서 매년 0.007mm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유럽 심장학회 및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 절단점은 0.9mm입니다.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는 초기 죽상경화증 뿐 아니라 죽상경화증성 변화가 아닌 평

      활근 세포증식과 비대와 같은 변화를 반영합니다. 위와같은 동맥벽의 변화를 초음

      파로 이용해 측정하면 미래의 심뇌혈관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

      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446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8
445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444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44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44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44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440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439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438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37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36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35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34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33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43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8
43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430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29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28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