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심방세동 환자의 항혈소판요소(aspirin & clopitogrel)

   혈전증에 기여하는 세계의 주요기전은

     ① 혈류의 정체 이로 인한

     ② 내피세포의 손상 그 결과로 발생한

     ③ 과응고 상태를 “Virchow´s triad"로 표현합니다.

   병리 생태학적으로 심방세동환자는 fibrin clot이 많은 red clot이 주로 관찰

   되고,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는 혈소판이 많은 white clot이 주로 관찰됩니다.

   따라서 심방세동d서는 항응고요법이, 관상동맥질환에서는 항혈소판 치료가 주

   를 이루어지게 됩니다.

   와파린 치료를 거부하거나 와파린 치료가 부가능한 경우 대안으로 항혈소판치료

   를 할 수 있는데 심방세동한자에서 아스피린(75~100mg/일) 단독요법과 아스피

   린과 clopitogrel(75mg) 병용요법을 비교한 결과 뇌졸중 발생률은 병용요법

   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 연간 주요 출혈 발생률은 병용요법군에서 유의하게 높

   아 순수이득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ACTIV-W연구의 사후검증(post hoc분석)에서도 심각한 출혈부작용이 환

   자사망의 주요 예견 인자로 보여지는 등 clopidogrel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미

   국 FDA의 공인을 받지 못하고 있고 부득이한 경우에 병합요법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3) 심장세동 환자를 심장내과로 전과하는 기준

   ① 증상이 심하거나 증상이 조절되지 않을 때

   ② 혈역학적 불안정한 경우

   ③ 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이 관찰되는 경우

   ④ 심전도에서 심근허혈 혹은 심근경색이 관찰되는 경우

   ⑤ 심율동 전환 후 심각한 서맥이 관찰될 때

   ⑥ 심도자 절제술증이 필요한 경우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와파린의 경우 길항제가 있어 용량 과다에 따른 출혈에 대응할 수 있으나,

   NOAC은 길항제가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가비트란의 경우 이다루시주맵이, Xa 억제제의 경우 인덱사넷과 같은 길항제

   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NOAC을 사용할 때는 용량조

   절이 필요한데 이전에 Ccr〈 30mL/min 이면 사용을 금지했으나 최근에는

   15mL/min이하로 기준이 낮아졌습니다.

   또한 NOAC이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은 약제인 만큼 약물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더 지켜보아야 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Date2019.08.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71
    Read More
  2. 운동요법2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0922
    Read More
  3. 운동요법 1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8763
    Read More
  4. 요통 운동요법(사진은 PPT 자료실 요통 운동요법 보시면 됩니다)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4908
    Read More
  5. 알츠하임머치매란?

    Date2011.12.2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7501
    Read More
  6.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Date2018.02.22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43
    Read More
  7.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Date2018.02.22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86
    Read More
  8.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Date2018.02.21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301
    Read More
  9.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Date2018.02.21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17
    Read More
  10.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168
    Read More
  11.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166
    Read More
  12.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503
    Read More
  13.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Date2018.02.19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071
    Read More
  14.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Date2018.02.19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059
    Read More
  15.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Date2017.05.23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824
    Read More
  16.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5) 치료약제는 언제까지?

    Date2017.05.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747
    Read More
  17.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4) 이상지질혈증 약제 사용지침

    Date2017.05.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963
    Read More
  18.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Date2017.05.12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160
    Read More
  19.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1)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Date2017.05.11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703
    Read More
  20.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3) 이상지질혈증의 비약물치료

    Date2017.05.14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8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