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1) 심방세동 항응고요법의 근거

     많은 임상실험에서 와파린이 심방세동환자에서 뇌졸중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와파린은 지속성 과 발작성심방세동에서 모두 효과가 있

     습니다.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전향적연구에서 와파린은 혈전

     색전증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추러 뇌졸중의 상대적 위험도를 약 61% 감소시

     켰으며 아스피린은 약 19% 감소시켯습니다. 그러나 아스피린은 1일 325mg 투

     여로 위약에 비하여 연간 뇌졸중의 발생률을 42% 줄였으나 다른 두 연구에서

     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와파린은 혈전색전증의 위험이 높은 고 위험군(CHA₂DS₂-VASc score

     ≥2)에서는 적극적인 사용이 추천되며, 중등도 위험군(CHA₂DS₂-VASc score

     ≥1)에서도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 치료가 우선 권장됩니다.

     와파린 사용 시 심각한 두 개내 출혈의 위험이 보고되었지만 이는 INR이 3.0

     을 넘는 지나친 항응고요법의 결과이며 INR을 2.0~3.0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뇌졸중 예방에 이상적임이 밝혀졌습니다.

     고령의 환자의 경우 뇌졸중과 와파린투여로 인한 뇌출혈의 위험요인이 모두

     증가하지만 뇌졸중의 상대 위험도가 뇌출혈의 상대 위험도보다 더 크므로 모

     든 고령(75세 이상) 환자에서 와파린 투여가 권고됩니다.

     그러나 와파린은 뇌졸중 발생예방 효과는 우수하나 출혈의 위험을 가지고 있

     어 안전성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음식 및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크며, 꾸준한

     혈액 모니터링과 용량조절이 필요해 투약이 따르는 불편함과 투약 중단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INR 은 2~3 정도로 유지해야 하지만 적정수준을 유

     지 할수 있는 경우는 50% 내외이고 고령에서는 오히려 출혈성 합병증이 증가

     하는 경향이 문제가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때문에 2003년 이후에 PT검사와 용량조절이 필요 없는 경구

     항응고제(NOAC)가 개발되었습니다.

     NOAC을 작용기전에 따라 분류하면

      ① 아픽사반, 에독사반, 리바록사반 - 혈액응고인자 Xa를 선택적으로 억제합

         니다

      ② 자이멜라가트란, 다비가트 - 트롬빈을 직접 억제합니다.

     이들 약제는 와파린과 비교하여 뇌졸중 예방효과 측면에서 열등하지 않거나

     오히려 우수하고 심각한 출혈합병증은 적거나 비슷한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최근 개정된 국외권고안에서는 CHADS₂점수를 대신하여 1점 이하의 저위험

     군에서의 뇌졸중 발생위험을 예측하기  CHA₂DS₂-VASc score를 권고하고 있

     습니다. 단 여성환자로 다른 위험변수가 없는 경우에는 SCHA₂DS₂-VASc

     score 점수다 1점이더라도 항혈전제 치료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 표1. CHA₂DS₂-VASc score

위험인자

  점

  수

SCHA₂DS₂-VASc

score 점수

보정된 뇌졸중

발생률 (%/년)

       0

     0

심부전/좌심실기능부전(LV EF ≤ 40%)

  1

       1

   1.3

고혈압

  1

       2

   2.2

나이≥ 75세

  2

       3

   3.2

당뇨병

  1

       4

   4.0

뇌졸중/일과성허혈성발작/혈전-색전증

  2

       5

   6.7

혈관질환 *

  1

       6

   9.8

나이 65~75세

  1

       7

   9.6

성별(여성)

  1

       8  

   6.7

최대 점수

  9

       9  

   15.2

* 혈관질환: 심근경색 기왕력, 말초동맥질환, 대동맥 프라그(aortic plaque)


  뇌졸중 예방을 위해 항혈전제를 사용할 때 뇌출혈 및 기타부위에서 발생하는

  중증출혈(2 파인트 이상의 수혈이 필요한 상황)발생을 주의해야 하는데 이러

  출혈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해 HAS-BLED 출혈 위험점수(HAS -BLED bleeding risk

  score)사용을 추천하고 있으며 각항목과 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표2. HAS-BLED bleeding risk score

          위험인자

              점수

고혈압

               1

신기능 & 간기능 이상(각 1점)

            1 혹은 2

뇌졸중

               1

출혈

               1

불안정한 INRs

               1

65세 이상

               1

drugs & alcohol(각 1점)

            1 혹은 2

최대 점수

               9

  * 중증 출혈의 빈도는 HAS-BLED 점수가 0-1점이면 약 1%, 3점이상이면 3.7%,  

    5점이면 12.5%정도이므로 3점 이상이면 출혈고위험군으로 간주하여 항응고제

    치료에 따른 손익계산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CHA₂DS₂-VASc 점수 0점은 항혈전제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2점 이상인 경우 

  항응고제가 필요합니다. 1점인 경우 우선 항혈전제 치료를 권장하며 환자위험도

  에 따라 항혈소판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기타 생활습관병 김병광 2011.05.02 18614
426 고혈압 고혈압 1(고혈압이란? 혈압측정 방법 은?) 김병광 2011.05.02 18587
425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424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23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2
422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21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420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419 기타 최소 어느정도 운동이 건강에 도움이 되나 김병광 2012.01.13 17966
418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417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416 소화기질환 치핵(치질)이란 ? 김병광 2012.04.14 17816
415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414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413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2
412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11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410 기타 알츠하임머치매란? 김병광 2011.12.22 17501
409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08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