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권고사항

1. 뇌졸중 위험평가에 CHADS-VASc 점수를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

   - 특히 저위험군 및 중등도 위험군(과거 CHADS점수로 0-1)에서는 적적한 항혈

          전 치료를 위해서 CHADS-VASc 점수를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 1점 이상인 경우는 항혈전 치료로서 새로운 경구 항응고제들(NOAC) 혹은 와파

          린을 사용한 항응고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0점인 경우는 항혈전 치료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위험인자가 없고 여성만이 유일한 위험인자일 때는 점수를 0으로 계산합

          니다.

2. 와파린은 판막치환술 병력 또는 류마티스성 판막질환 환자나 INR이 잘 조절되고

      출혈이 없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권장되며 INR 범위는 2~3입니다.

3. Aspirin 단독요법 또는 aspirinclopidogrel 병용요법은 경구용 항응고 치료

      를 따라 할 수 없거나 환자가 경구용 항응고제 사용을 거절했을 때 고려할 수 있습

      니다.

4. 와파린에 민감성 또는 금기로 사용할 수 없거나, 적정 INR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

   INR이 잘 유지되고 있지만 뇌출혈 위험이 있는 경우에, 와파린에서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로의 전환을 고려합니다.

   단 출혈위험이 없고 항응고제로 조절이 잘되는 환자에서 대체하는 것은 권고

   되지 않습니다.

5.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 사용 전 신기능평가하고 정상(CrCl 80mL/min이상),

   또는 경증 신부전증 환자(CrCl 50~70mL/min)의 경우 매년 반복합니다.

      단 중등도(CrCl 30~49mL/min)는 매년 2~3회 평가해야 합니다.

   NOAC은 중중신부전환자(CrCL30mL/min 미만)에게는 권고되지 않습니다.

6. 뇌졸중예방을 위해 항혈전제를 사용할 때 출혈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해 HAS-BLED

   출혈 위험점수(HAS-BLED bleeding risk score)사용을 추천합니다.

7. 일차진료의는 약물로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전한 경우,

      심근경색이나 허혈이 관찰되거나 심도자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에 심장내과 전문

      의에게 의뢰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4판 제3장 이상지질혈증의 생활요법 1. 식사요법

    Date2019.08.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71
    Read More
  2. 운동요법2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0922
    Read More
  3. 운동요법 1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8763
    Read More
  4. 요통 운동요법(사진은 PPT 자료실 요통 운동요법 보시면 됩니다)

    Date2011.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4908
    Read More
  5. 알츠하임머치매란?

    Date2011.12.2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7501
    Read More
  6.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Date2018.02.22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43
    Read More
  7.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2. 본론

    Date2018.02.22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86
    Read More
  8.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1. 서론

    Date2018.02.21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301
    Read More
  9.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Ⅱ. 심방세동 항응고 요법 - 권고사항

    Date2018.02.21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217
    Read More
  10.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1. 아스피린 예방요법의 근거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168
    Read More
  11.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166
    Read More
  12.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2. 본론

    Date2018.02.20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503
    Read More
  13.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 권고사항

    Date2018.02.19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071
    Read More
  14.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항혈전 및 항응고 요법 1. 아스피린 예방요법 1. 서론

    Date2018.02.19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059
    Read More
  15.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Date2017.05.23 Category심뇌혈관질환 By김병광 Views2824
    Read More
  16.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5) 치료약제는 언제까지?

    Date2017.05.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747
    Read More
  17.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4) 이상지질혈증 약제 사용지침

    Date2017.05.23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963
    Read More
  18.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Date2017.05.12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160
    Read More
  19.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1)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Date2017.05.11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2703
    Read More
  20.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3) 이상지질혈증의 비약물치료

    Date2017.05.14 Category콜레스테롤 By김병광 Views38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