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서론

   - 신체활동이란골격근의 수축에의헤 유발되는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함께 이루

      어지는 신체의 음직임인데 신체활동량과 총 사망률간은 강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데 활동적인 남성과 여성의 경우 비활동적인 사람들에 비해서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알져 있습니다또한 신체활동은 관상동맥질환이나 당뇨, 뇌졸중 등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조절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총 신체활동량과 심·뇌혈관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사이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2008년 메타분석연구에서 신체활동이 활발한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약 35%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년이후

      남녀에서의 비활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한 독립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신체활동을 정량화하는 것은 실제 환자의 신체활동을 파악하거나 환자에 적합한

      수준의 운동과 신체활동을 권고하는데 있어 유익합니다.

   신체활동량은 신체활동 강도에 신체활동 시간을 곱하여 보통 MET-min으로 형태로

      표현합니다.

   MET(Metabolic Equivalent Task), 신진대사 해당치 혹은 대사당량이란 안정 시

     신체가 기능하는데 산소섭취량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MET는 성인이 쉬고 있을 때 사용하는 산소 섭취량으로 3.5mL/Kg/min에 해당하

      며 1시간에 1 kcal/kg 수준의 에너지 소모량에 해당합니다.

   인체는 보다 고강도의 활동할 때 더 많은 산소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MET는 신체

      활동 강도의 단위가 됩니다.

    - 신체활동 시 중강도라 함은 일반적으로 3~5.9METs에 해당되는 운동 강도를 말하

      며, 고강도 또는 격렬한 정도라 함은 6METs 이상을 말합니다.

   2011년 수행된 메타분석연구에 따르면 여가시간에 신체활동을 전혀하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중강도운동의 신체활동을 1주일에 150분 시행한 남녀의 경우 관상

     동맥질환 위험도가 14%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고 주당 300분 시행한 경우는 위험

     도가 20%정도 낮아진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더 높은 강도의 신체활동을 한 경우에는 위험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제한적

      이나마 심혈관질환과 신체활동 사이에 용량-반응 간계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대부분의 연구는 여가시간 동안의 신체활동에 대한 연구였지만 직업상의 신체

     활동, 집안일이나 출퇴근 시의 신체활동도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결국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움직이는 것이 건강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만성 질환자도 규칙적 신체활동으로 중요

      한 건강상의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단 만성질환자에게 신체활동을 권하거나 운동을 처방할 때에는 개별질환과 연관

     된 위험도와 안전성을 고려해서 개개인의 조건과 체력에 맞는 신체활동을 하도록

     교육하고 주의 사항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일차진료의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하여 만성질환자 등 모든 환자에게 묻고

    환자에게 맞는 활동의 종류와 양에 대해 상담을 해서 운동하도록 격려해야만 합니

    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김병광 2015.08.01 6408
34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 김병광 2015.07.31 5822
34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① 김병광 2015.08.01 5898
34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② 김병광 2015.08.01 6034
34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 김병광 2015.08.01 5835
342 당뇨병 22. 당뇨병성콩팥병의 예방은? 김병광 2011.10.04 20632
341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340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339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338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337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336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335 당뇨병 3. 당뇨의 원인/ 4. 당뇨병의 증상 김병광 2011.05.02 19231
334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333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332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331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330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329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328 당뇨병 36.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부록) 김병광 2011.11.04 150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