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서론

   2014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 중 과음자는 13.5%(남성 20%, 여성 6.6%),

     폭음자는 37.5%(남성 53.2%, 여성 22.5%)입니다.

     알코올 사용장애 평생 유병률은 13.3%입니다.

          과음이나 폭음 등 위험 음주자에 대해서는 절주를 교육해야 하지만

          알코올 사용장애에 해당한다면 금주를 위한 치료적 전략이 필요합니다.

   위험 음주 및 알코올 사용 장애에 선별검사로는 3가지 질문

        (주당 평균 음주 횟수, 1회 평균 음주량, 최대 음주량)을 통해 위험음주(과음,

     폭음)여부를 판단하고

          선별도구를 활용할 경우에는 AUDIT-KR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 Korean Aevised Version)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 본론

  1) 역학 및 임상적 특징

     (1) 유병률

         우리나라 2012년 알코올 사용장애 평생유병률은 13.3%2001년의 15.9%,

     200616.2%에 비해 감소한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흔한 질환입니다.

  (2) 음주문제 진료가 자리 잡지 못한 이유

         ① 음주문제 환자의 50~90%가 일차진료의들에게 인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 일차진료의들의 음주문제에 대한 의학적 훈련과 교육의 부족으로 알코올

                    환자를 다루고 치료하는 데 있어서 자신감 결여

       알코올 사용장애를 의학적 질환이라기 보다는 도덕성의 결여나 사회적 문제

                   로 보는 잘못된 개념

              ⓒ 알코올사용장애라는 질환이 갖는 이해하기 힘든 임상양상 등입니다.

         ② 음주문제를 진단하더라도 의사가 쉽사리 개입하려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촉박한 진료시간, 인내심의 부족,

       효과적으로 다룰 기술의 부족,

       알코올리즘은 잘 치료되지 않는다는 비관론적인 태도입니다.

        결국 음주문제 자체에 대한 치료는 도외시 한체 신체적인 합병증에 대한 치료

               만으로 치료를 중요하여 다시 재발하고 또다시 신체적 합병증으로 내원하는

               악순을 반복하게 됩니다.

         ③ 일차의료에서 항갈망제 사용에 대한 보험적용 제한으로 인해 환자의 순응도가

              떨어져서 효과적인 약물치료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3) 음주문제 진료 활성화 대책

         ① 일차의료를 담당할 의사를 대상으로 수령과정이나 연수교육을 통해서 음주

              문제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음주문제를 선별검사, 진단, 치료 및 심리상담

              에 대한 임상진료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② 항갈망제 사용에 대한 건강보험의 규제가 없어야 합니다.

         ③ 사회적으로는 알코올 사용장애를 포함한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정책과 사회적 운동이 필요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Ⅶ. 약물요법: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Ⅷ. 약물요법: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김병광 2012.12.26 10783
34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김병광 2013.01.05 10190
34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34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Ⅳ. 혈당조절의 감시 Ⅴ 혈당조절 약제 4 김병광 2013.01.11 9878
34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김병광 2013.01.15 10379
34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지침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김병광 2013.01.21 9801
34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 지침 Ⅱ. 만성 신질환 1-4단계의 위험도 구분 Ⅲ. 만성 신질환 5단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 김병광 2013.01.25 10624
34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미네랄-골대사질환 치료지침 김병광 2013.03.04 9223
33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및 치료  김병광 2013.03.18 9678
33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김병광 2013.03.22 9738
33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336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 B형 간염 4 김병광 2013.03.25 10841
335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2. A형간염 김병광 2013.03.25 10049
334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3. 인플루엔자 김병광 2013.03.30 9393
333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4. 폐렴구균 김병광 2013.04.01 10598
332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5. 인유두종바이러스 김병광 2013.04.05 9628
33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6.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김병광 2013.04.06 9926
330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32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8. 일본뇌염 김병광 2013.04.09 9943
328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9. 대상포진 3 김병광 2013.04.19 110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