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2) 니코틴 의존도 평가

          신체적 금단증상을 주로 평가하는 파거스트롬 테스트는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

          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1. 니코틴 의존도 검사(For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ence, FTND)

1. 아침에 일어마면 얼마 만에 첫 담배를 피우십니까?

      □ 5분 이내 (3)           6~30분 사이 (2)

      □ 31~1시간 사이 (1)      1시간 이후 (0)

2. 금연구역(도서관, 극장, 병원 등)에서 담배를 참기 어렵습니까?

      □ (1)                 아니오 (0)

3. 하루 중 담배 맛이 가장 좋을 때는 언제입니까?

      □ 아침 첫 담배 (1)        그 외의 담배 (0)

4. 하루에 보통 몇 개피나 피움십니까?

      □ 31 개피 이상 (3)        21~31 개피(2)

      □ 11~20 개피 (1)          10 개피 이하(0)

5. 오후와 저녁 시감보다 오전 중에 담배를 더 자주 피우십니까?

      □  (1)                  아니오(0)

6. 몸이 아파 하루 종일 누워 있을 때에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 (1)                   아니오(0)

채점방법

     1~3: 니코틴 의존도가 낮은 상태

     4~6: 니코틴 의존도가 중간 상태

     7~10: 니코틴 의존도가 높은 상태

 

     각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7점 이상이면 의존도가 높다고 평가하는 데 6가지 문항은

     다 묻는 것이 어렵다면 이중 1(첫 담베까지의 시장)4(흡연량)만 묻고 그

     점수가 4점 이상이면 니코틴 중독이 심한 것으로 평가하는 방법(Heaviness of 

   Smoking Index,HSI)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10개피 이상, 아침 첫 담배를 무는 시간이 기상 후 30분 이내,

   과거 금여시도에서 금단증상이나 흡연갈망이 심했던 경우라면 니코틴 의존의 표식

      이므로 약물치료를 적극적으로 권유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4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3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34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34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34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4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34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3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6) 비만의 약물요법 김병광 2017.06.05 2808
33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3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김병광 2017.05.23 2824
33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3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2) 비만 치료 전 준비 김병광 2017.05.26 2845
3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김병광 2017.06.02 2850
33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3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3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3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2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김병광 2017.05.11 2858
3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