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서론

  1) 흡연역학

          전세계적으로 흡연인구는 13억명 정도로 추정되며, 흡연관령 질환의로 사망

          하는 사람은 600백만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관련 사망의 3대 질환은 심혈관질환, 폐암, 만성폐쇄성질환입니다.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1147.3%, 201342.2%, 201539.3%

          줄어드는 추세이나 OOECD국가 중 최고의 수준이며,

     여성 성인의 흡연율은 설문조사에서 5~7%이나 소변니코틴 검사에서는 여성성인

          흡연율이 1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태아에 대한 흡연의 악영향

          을 고려할 때 가임기 여성에 대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금연의 이득

          관상동맥 질환이 없는 흡연자가 금연하면 심장질환발생은 최대 47%까지 줄어

          들며, 심근경색 후 금연을 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재발이 감소합니다.

     심근경색, 관상동맥우회로수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안정성협심증을

          포함한 환자를 대상으로 2년 연속 추적관찰로 보면 금연자들의 사말률은 지속

          흡흡연자에 비해 36% 가량 감소하였습니다.

          완전한 실내흡연규제를 할 경우 급성심근경색은 17% 감소한다고 하며 또한

          흡연관련질환에 따른 입원도 40% 줄어듭니다.

     일부 연구에서 중년이후 흡연량을 줄이는 경우 사망률, 특히 심뇌혈관에 의한

          사망이 줄어든다고 아였으나 다른 연구는 사망률 감소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여

          완전한 금연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3) 금연진료가 필요한 이유

          우리나라에서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서구식 식생활과

          운동부족, 비만 뿐 아니라 높은 흡연률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흡연자의

          60%이상은 심근경색 위험과 흡연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믿지 않고 있기 때문에

         흡연자 모두에게 선별하여 행동상담과 약물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심뇌혈관질

         환 예방서비스 영역 중이 하나입니다.

              흡연자의 70%는 금연을 원하고 있고 절반이상이 지난 일전간 금연시도를 합니

         다. 하지만 전문가의 도움 없이 금연을 시도한 사람 중 5% 정도만 1년 후에도

         금연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30%이상이 1년 이상 금연

         성공률을 보입니다. 의료진의 간단한 조언만으로도 병원을 방문하는 흡연자들의

         금연성공률은 1.6배가 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4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3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34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34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34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4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34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3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6) 비만의 약물요법 김병광 2017.06.05 2808
33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3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김병광 2017.05.23 2824
33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3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2) 비만 치료 전 준비 김병광 2017.05.26 2845
3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김병광 2017.06.02 2850
33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3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3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3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2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김병광 2017.05.11 2858
3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