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8) 치료

      ① 생활습관 교정 및 체중감소

            비만으로 인두내 협착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비만한 환자는 반드시 체중감량을 위한 생활

           교정에 재한 교육이 중요합니다.

           체중이 감소하면 AHI 가 개선되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따른 증상도 좋아집

           니다. 하지만 체중이 늘어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체중유지를 위한 노력

           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 무호흡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주간 졸림증, 심폐능력, 수면의 효율성이 좋아지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② 수면 중 체위

           반듯이 누운자세에서는 옆으로 누운자세에 비해 무호흡의 지수가 약 2배 증가

           합니다. 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베개, 베게에 붙은 조끼, 체위에 따른 알람등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있지만 이들의 장기간 효과에 대한 연구는 더 필요합니다.

     ③ 금주 및 약제에 대한 주의

        금주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환자에서 금주에 대한 교육을 시행합니다.

       또한 항우울제, 수면 진정제 등은 수면 무호흡증과 주간졸림 증상을 알화시킬 수

          있으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l 있는 환자에서 상기약제의 사용은 주의가 필요

          하며, 증상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합니다.

    ④ 양압기 치료

          양압기의 치료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효과적인 일차적인 치료입니다.

          지속적인 양압기(CPAP)는 구강, 인두, 코의 장치를 통해 일정한 공기압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써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개선시키게 됩니다.

       또한 지속적인 양압기 치료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혈압, 당뇨, 심부전 등

          동반되는 질환의 위험도를 낮추지만 양압기에 적응하느데 있어 어려움이 있어

          치료 순응도는 17%에서 85%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기타

          그 외 구강내 장치, 수술, 약물요법 등이 있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2
466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65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463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6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46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46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459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45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45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4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4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45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45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45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45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450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4 김병광 2011.12.08 14486
449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2 김병광 2011.12.07 14360
448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김병광 2011.12.05 13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