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⑴ 일정 기간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범 불안장애, 공황장애 중 지속적인 치료로 완치를 원할 경우와 적응장애 환자 중

      증상이 심한 경우 일정기간 이상의 투약이 필요합니다.

   선택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는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어 1차 선택약으로 추천

      됩니다.

   선택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는 통상적으로 처방하는 제형의 1/2정도 용량으로

      1주일간 처방한 후 1주일 후부터 통상량으로 처방한 후 2~4주후의 반응에 따라

      증량을 고려합니다.

      벤조다이아제핀계약물은 처음부터 같이 처방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함으로써

      선택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초기에 불면이나 흥분증상이

      생기는 문제점 및 약효가 천천히 나타나는 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증상이 호전되면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부터 서서히 줄여나갑니다.

      한 제제의 선택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에 치료효과가 불충분하거나 부작용이 심하

      다면 같은 계열의 다른 약제나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재흡수억제제로 변경해볼

      수 있습니다.

      치료기간은 범불안장애의 경우 대부분의 상황에서 불안증상이 사라진 후,

   공황장애의 경우 마지막 공황발작으로부터 또 공장공포증이 사라진 후 적어도

       6~12개월간의 유지요법이 재발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선택세로토닌재흡

      수억제제도 금단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서서히 줄여서 끊습니다.

      만성적인 적응장애 환자의 경우에는 증상의 호전에 따라 서서히 줄여나가면서

      마지막 약을 끊는 시기는 환자에게 일임해도 될 것입니다.

  ⑵ 단기간 및 간헐요법

      사회공포증에 대한 노출시에만 간헐적으로 투약을 원하는 경우나 적응장애의 증상

      이 심하지 않는 경우에는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을 단기간 처방하거나 필요에 따라

      투약해보기를 권할 수 있습니다.

    사회공포증에는 베타차단제도 간헐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황 발작 또는 공포증이 있는 환자가 예기치 않게 대상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증상

      의 완화를 위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필요에 따라 투약할 수 있습니다.

 

4) 정신건강의학과의 의뢰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전문화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경우, 아주 극심한 사건을 경험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

   동반되거나 합병증으로 생긴 우울증으로 인해 자살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의뢰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벤조디아제핀계약물의 장기사용 문제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약물의존이 문제가 됩니다.

   약물의존은 내성과 금단증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부작용인 진정작용, 집중곤란, 기억력저하에 대해서는 몇 주가 지나면

      내성이 나타나지만, 항불안 작용에 대한 내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훨씬 천천히 나타납니다.

   금단증상은 고용량을 쓰거나 반감기가 짧은 약을 썻을 때 더 흔한데, 불안의 정신

      적 증상이나 ᅟ육체적인 증상, 인지장애 등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6 이상 벤조

      디아제핀을 사용한 환자에게 용량을 줄일 때에는 1주에 25% 이하로 줄여가도록 해

      야 한다는 원칙만 지킨다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의존성 때문에 사용하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326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325 당뇨병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김병광 2011.05.02 18781
324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3 김병광 2011.05.02 18839
323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3
32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9
32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320 PPT 자료실에 자료 올리는 중입니다 김병광 2011.05.02 14054
319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318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1 2 김병광 2012.01.02 14650
317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2 김병광 2012.01.02 14376
316 소화기질환 Ⅰ.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정의 김병광 2013.10.13 9212
315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14 결핵 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2.01.04 14664
313 소화기질환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김병광 2013.10.13 9896
312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311 결핵 Ⅲ. 결핵이 재치료 및 약제내성 결핵이 치료 김병광 2012.01.06 15409
310 소화기질환 Ⅲ.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 3 김병광 2013.10.14 10610
309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08 소화기질환 Ⅳ.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1 김병광 2013.10.15 1109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