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우울증의 치료

 3) 치료 효과에 대한 평가가

    항우울제에 대한 평가는 무반응(증상감소가 25%이하)

                            부분적 반응(증상 감소가 26~49%)

                            반응(증상감소가 50% 이상)

                            부분적 완화(잔여 증상이 있는 반응)

                            완화(증상의 소실로 분류합니다.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추적관리하는데 PHQ-9(Patient Hea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을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 Korean version of Patient Heath Questionnaire-9

지난 2주 동안 당신은 다음과 같은 일로

얼마나 자주 불편함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수일

정도

일주일

이상

거의

매일

1. 하는 일에 흥미나 즐거움이 거의 없다

0

1

2

3

2. 기분이 가라않고 우울하거나 또는

   희망이 없다

0

1

2

3

3. 잠들기 힘들거나, 수면을 유지하기

   힘들거나 또는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잔다

0

1

2

3

4. 피로감을 느끼거나 기력이 거의 없다

0

1

2

3

5. 식욕이 없거나 또는 기력이 거의 없다

0

1

2

3

6. 자신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거나, 자신을

   실패자라고 느끼거나 또는 자신에 대한

   실망을 하거나 가족들을 실망시켰다고

   생각한다

0

1

2

3

7.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신문

   을 보거나 텔레비전을 시청하기 힘들다

0

1

2

3

8. 주변사람들이 알아차릴 정도로 움직이

   거나 말하는 것이 느려졌다. 또는 그

   반대로 안절부절 못하거나 들떠서 평소

   보다 많이 주위를 돌아다닌다

0

1

2

3

9. 죽어버리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방법으로든지 자신을 해칠 생각을

   한다

0

1

2

3

     ☎ 5~9: Mild Depresive Symptomes

        10~14: (2~4 symptomes) Major Depression

        15~19: Moderate(≥ symptomes) Major Depression

        20 ≤: Severe Major Depression

      - 점수가 5~9로 경한 주요 우울 증상의 경우 환자지지와 신체활동 강화 등

        자가치료 방법을

        10~14점 경한 주요 우울장애 및 15점 이상의 중한 주요우울증장애의 경우

        약물치료 단독 또는 심리치료와 병행하도록 계획헤야 합니다.

        추적진료에서 5점 이상 감소하면 최소한 임상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습니다.

  

 4) 우울증환자의 의뢰

    우울증 환자 진료 시 정신건강의학과에 의뢰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살이나 타해의 위험이 있는 경우(사고의 위험성)

      정신증이 동반된 경우

      급격한 증상 악화를 보이는 경우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돌봐줄 가족이 없는 경우

      항우울제 합병증으로 심각한 신체 질환이 있는 경우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5) 예방 및 생활 가이드

    우울증을 예방하며 건강한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규칙적이고 균형 있는 신체운동

      햇볕 쬐기

      규칙적이고 균형 있는 식사

      절주, 금연, 커피 섭취 제한

      공연한 부정적인 생각을 버리기

      자신만의 취미를 갖는 생활 실천이 도움이 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2 4786
186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2.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3 4759
18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18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18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182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18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18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17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17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17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17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17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17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4044
17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17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17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17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16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3) 이상지질혈증의 비약물치료 김병광 2017.05.14 3881
»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383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