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은 3가지로 구분됩니다.

       ① 감정조절이 어렵고 우울증상경험이 지속될수록 바이오 행동 모델에 따라

          신경내분비 및 염증물질(C-반응단백, 인터루킨-1, 인터루킨-6 등)의

          증가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자극에 따라 심박수 변동, 심실 불안정, 심근경색 및 혈소판

          기능이상을 초래합니다.

          매일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따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의 과다

          활동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엔도르핀 분비를 증가시켜 혈압의 상승,

          고콜렛,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유발하고, 혈관내피세포를 자극하여

          동맥경화를 가속화시켜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줍니다.

       ② 우울감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저하와 같은 건강치 못한 생활습관을

          갖기 쉽고, 약물순응도가 낮아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

          다.

       ③ 항우울증 약물의 사용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에 대해서는 아직은 근거가 불충분 합니다.

 

  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우울증의 발현시기, 외부유발요인 증에 따라 개인차가 많습니다.

     - 우울증 환자의 50%정도가 정신적 증상보다는 피로감, 소화불량, 두통

       현기증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 가면우울증으로 나타나며

       환자 자신도 우울감으로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겉으로는 우울해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히려 불안하거나 아무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기도 하며, 집중력이 감소

       하고, 수면, 식욕, 성욕이 감소하나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수면과다나

       식욕증가를 호소하는 환자도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증상을 호소할 경우, 알려진 유병율보다 우울증이 2배 높게

       진단되므로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우울증일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 우울증의 치료 장애요인으로는 가족, 직장 및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

      우려되어 치료받는 것을 꺼려하거나, 약물처방을 시작하여도 순응도가

      낮기 때문에 입원율이 증가하는 증이 있습니다.

    - 중요 우울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여성, 이혼 증 결환생활의 어려움, 미혼

      학생이나 주부, 무직, 낮은 소득이 있습니다.

    - 우울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만성질환 동반위험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김병광 2017.06.08 2877
32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32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32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32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322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4) 이상지질혈증 약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7.05.23 2963
321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32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3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15 3025
31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3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31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315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김병광 2017.05.12 3160
314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31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3371
31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31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31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30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3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