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은 3가지로 구분됩니다.

       ① 감정조절이 어렵고 우울증상경험이 지속될수록 바이오 행동 모델에 따라

          신경내분비 및 염증물질(C-반응단백, 인터루킨-1, 인터루킨-6 등)의

          증가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자극에 따라 심박수 변동, 심실 불안정, 심근경색 및 혈소판

          기능이상을 초래합니다.

          매일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따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의 과다

          활동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엔도르핀 분비를 증가시켜 혈압의 상승,

          고콜렛,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유발하고, 혈관내피세포를 자극하여

          동맥경화를 가속화시켜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줍니다.

       ② 우울감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저하와 같은 건강치 못한 생활습관을

          갖기 쉽고, 약물순응도가 낮아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

          다.

       ③ 항우울증 약물의 사용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에 대해서는 아직은 근거가 불충분 합니다.

 

  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우울증의 발현시기, 외부유발요인 증에 따라 개인차가 많습니다.

     - 우울증 환자의 50%정도가 정신적 증상보다는 피로감, 소화불량, 두통

       현기증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 가면우울증으로 나타나며

       환자 자신도 우울감으로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겉으로는 우울해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히려 불안하거나 아무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기도 하며, 집중력이 감소

       하고, 수면, 식욕, 성욕이 감소하나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수면과다나

       식욕증가를 호소하는 환자도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증상을 호소할 경우, 알려진 유병율보다 우울증이 2배 높게

       진단되므로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우울증일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 우울증의 치료 장애요인으로는 가족, 직장 및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

      우려되어 치료받는 것을 꺼려하거나, 약물처방을 시작하여도 순응도가

      낮기 때문에 입원율이 증가하는 증이 있습니다.

    - 중요 우울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여성, 이혼 증 결환생활의 어려움, 미혼

      학생이나 주부, 무직, 낮은 소득이 있습니다.

    - 우울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만성질환 동반위험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김병광 2011.12.01 13688
366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2. 면역저하자 4 김병광 2013.05.20 13652
365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63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62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1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0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8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김병광 2011.11.18 12309
35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35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55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김병광 2011.11.15 12231
354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3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52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1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34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