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적절한 운동은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되며, 환자의 운동능력의 파악과 운동

    처방을 위해 운동 전 검사가 권장되며

    특히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위험요인이 동반된 비만 환자의 경우

    운동 전 건강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적절한 운동처방은 운동유형, 강도, 지속시간, 빈도 등으로 구성됩니다.

  ⑴ 운동유형

   -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결합하는 형태를 권장합니다.

   -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을 소비하는데 효과적이며,

     근력운동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지만 심장이 이상 있는 환자나 고령환자는

     사고 발생이 높으므로 주의해서 처방해야 합니다.

   - 근력운동은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증가하지

     않게끔 예방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경우에는 체중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의가 없습니다. 근력운동도 체중감량이 이어지지 않더라도 이상지질혈증

     및 인슈린 저항성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들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운동의 종류는 과거의 운동경험이나 현재 여건에 맞게끔 도와주는 것이 바람

     직합니다.

     별도로 운동할 시간이 없는 경우 집에서 할수 있는 운동을 알아보고,

     운동장소를 정할 때 가능한 집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혼자 하는 운동 또는 집단으로 하는 운동을 지정해서

     구체적으로 권유해 줄 수 있습니다.

   ⑵ 운동강도

      운동을 처음시작하는 경우 낮은 강도로 시작하여 일정하게 몇주 간격마다

      점차 늘려 중등도 이상의 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등도 강도 운동의 목표심박수는 최대심박수의 50 ~ 70%입니다.

      분당 심박수는 경(목)동맥이나 요골(팔목)동맥에서 10초간 측정해서 6을

      곱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심박수 = 220 -나이

        목표심박수 = (운동강도(%)/100)x 최대 심박수

   ⑶ 운동시간

    - 열량의 소비는 운동의 강도와 시간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 운동 강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운동을 점진적

      으로 늘려나가는 것이 체중감량을 위해 더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습니다.

    - 유산소 운동의 경우 빠르게 걷기나 자전거타기 같은 중등도 강도 이상의

      운동이 특히 체중 감량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중등도 강도의 운동은 한번에 30분 이상 연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일주일에 150분 이상 더 나아가 일주일에 250분 이상 운동할 경우 체중감량

      및 체중예방에 더 효과적입니다.

   ⑷ 운동빈도

    -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1주일에 3회 정도에서 시작하여 일정하게

      몇주 간격으로 점차로 늘려 5회 이상 하도록 합니다.

    - 운동시간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한 번에 길게 하는 운동보다는

      비교적 짧게 자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근력운동을 병행 할 경우 근육의 회복을 돕기위해 근육을 쉬어줄 필요가

      있으므로 신체를 주요 근육군으로 나누어(2분할 또는 3분할)

      주 2회 또는 3회 실시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김병광 2011.12.01 13688
366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2. 면역저하자 4 김병광 2013.05.20 13652
365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63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62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1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0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8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김병광 2011.11.18 12308
35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35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55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김병광 2011.11.15 12231
354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3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52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1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34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