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3) 비만의 식사요법

   -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섭취열량을 제한해야 하면, 그 제한정도는 개인의 상태

     에 따라 개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자의 경우 하루 - 1,200 ~ 1,500Kcal,

        남자의 경우 하루 1,500 ~ 1,800kcal로 처방하되 현재 체중에 따라 조정

        가능 합니다.

     또는 하루 예너지 결핍이 여자 500 Kcal, 남자 750Kcal로 되게끔 처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 섭취열량 제한이라는 것이라면 저당질식, 저지방식, 고단백식, 저당지수식

     등 다량영양소의 비율을 조정하는 식사방법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환자의

     의학적 상태 및 식생활습관을 고려하여 필요시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열량제한에 따른 근육 소실을 최소화하고 단백질 결핍을 막기 위해

       체중 1 Kg당 최소 0.8 ~ 1g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됩니다.

       또한 비타민과 무기질 결핍에 주의해야 하며 1일 1,200Kcal 이하를 섭취할

       경우 비타민 및 무기질보충제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알코올은 1g당 7Kcal의 열량을 갖고 있으므로 술 자체의 열량과 안주의 열량

     을 감안하여 음주빈도와 음주량을 제한하여야 합니다.

   - 체중 감량 못지않게 감량한 제중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치료초기부터 영양전문가를 통한 정기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환자가 목표로 한 체중감량을 성취하였을 때쯤이면 일정수준의 영양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해야 지속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식사일지 기록은 치료 전 영양평가는 물론이고 치료과정에도 매우 중요합니

     다. 매일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다 보면 음식섭취와 체중의

     관계를 이해시키는데 좋은 자료가 되며, 아울러 식사 습관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식사일지를 기록함으로써 환자 자신이 어떤 상황에 무엇을 먹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식사 패턴을 명확히 알 수 있으므로 식사형태를 변화시키

     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식사일지는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음식을 먹는 즉시 적도록 하고,

     섭취한 음식의 양을 소량이라도 정확히 기록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 식품의 모형을 이용하여 식품의 열량 개념을 교육하면 효과적입니다.

     당뇨병 식사요법에서 이용하는 식품 교환표를 바탕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유도하고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당뇨식사 칼로리 계산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분류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5.07.25 6182
36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예방 김병광 2015.07.25 5747
36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58
36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2
36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치료제 김병광 2015.07.27 5593
36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김병광 2015.07.28 5740
36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89
36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백신 접종 김병광 2015.07.27 5823
35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운동요법 김병광 2015.07.27 5983
35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35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35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김병광 2015.07.26 5788
35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목표 김병광 2015.07.26 5959
35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김병광 2015.07.30 10097
35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35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김병광 2015.07.30 5919
35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35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61
34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5.07.29 6007
34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