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⑴ LDL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른 기준

    주요위험인자는

      ① 흡연  

      ② 고혈압 ≥ 140/90mmHg 혹은 항고혈압제 복용

      ③ 낮은 HDL 콜레스테롤: 〈 40mg/dl

      ④ 조기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직계가족 중 남자〈 55세, 여자〈 65세

      ⑤ 나이: 남자≥ 45세, 여자 ≥ 55세

      단 HDL 콜레스테롤이 ≥ 60mg/dl이면 위험요인 1개를 빼줍니다.

    KHS연구에서 심뇌혈관질환 전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와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남자의 경우 고혈압(27,2%), 흡연(23.8%), 이상지질혈증(8.7%)으로 확인

      되었고 3 가지 위험인자를 예방하면 심뇌혈관질환을 약 60% 예방할 수 있습

      니다.

      여자의 경우 고혈압이 23.7%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흡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다음은 2016년 유럽의 가이드라인과, 2015년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진료지침

   에 의한 분류입니다.

     ① 초고위험군

        심혈관질환(기존의 심근경색,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관상동맥 재개통술,

          관상동맥 우회술, 뇌졸중, 일과성허혈성 발작, 말초동맥질환),

          관상동맥 조혈술이나 경동맥 초음파상 심각한 죽상경화반,

          표적장기 손상이 있는 당뇨병(단백뇨 등)

          주요위험인자(흡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같은)가 있는 당뇨병

          중증의 만성신장질환(GFR 〈 30ml/min/1.73m²)

          - 콜레스테롤치를 70mg/dl 미만으로 조절하거나, LDL-콜레스테롤의

            기저치가 70~135mg/dl 이었다면 기저치의 50%로 이하로 조절하는 것

            이 추천됩니다.

          -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이나 만성신장질환이 있거나,

               심혈관질환이 없는 40세 이상에서 심혈관질환에 대한 위험인자를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거나, 표적장기 손상이 있는 경우,

            LDL 콜레스테롤을 70mg/dl 미만으로 조절하고,

            이차적으로 non-HDL 콜레스테롤을 100mg/dl 미만으로,  apoB를

            80mg/dl 미만으로 조절합니다.

      

     ② 고위험군

        단일 위험인자가 현저히 상승했거나(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혈압 ≥ 180/110 mmHg), 대부분의 당뇨병, 중등도 만성신장질환(GFR 30

          ~ 59 mL/min/1.73m²)인 경우에는

         -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100 mg/dl 미만으로 조절하거나,

           LDL 콜레스테롤의 기저치가 100 ~ 200 mg/dl 이었다면 기저치의 5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 표적장기손상이나 추가적인 위험인자가 없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LDL 콜레스테롤의 목표를 100 mg/dl 미만으로 조절하고,

           이차적으로 non-HDL 콜레스테롤을 130 mg/dl 미만으로, apoB를 100

           mg/dl으로 조절합니다.

      

     ③ 중등도 위험군

        L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주요위험인자가 2개 이상인 경우

        -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130 mg/dl 미만으로 조절합니다.

      

     ④ 저위험군

        L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주요 위험인자가 1개 이하인 경우

        -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160 mg/dl 미만으로 조절합니다.

  ⑵ 고중성지방혈증에 대한 치료 지침

     중성지방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비만, 제 2형 당뇨병, 음주, 단순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

       신장질환, 갑상선기능 저하증, 임신, 전신성홍반성 낭창같은 자가면역 질환

       다양한 약물(스테로이드, 경구용에스트로겐, 타목시펜, 항바이러스제제

       일부 고혈압약제<베타차단제, thiazide 이뇨제>, Ciclosporin,

       일부 정신질환약물)등이 있습니다.

     유럽가이드라인에서는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인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반드시 약물치료를 권하고 있습니다.

       일차약제로는 스타틴을 고려하며, 스타틴 복용 시에도 200mg/dl 이상인

       경우 fenofibrate와 스타틴을 같이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권장

       하고 있습니다.

     국내지침에는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500mg/dl 이상인 경우 급성췌장염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이차적인 원인이 없거나 교정된 뒤에도 지속적으로

       500mg/dl 이상의 중성지방 농도가 확인된 경우 fibrate, nicotinic acid,

       오메가 -3 fatty acid 등의 약물 치료을 시작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중성지방농도가 200 ~ 500 mg/dl 이면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위험군에

       따른 목표치보다 낮을 경우 우선 생활습관개선을 권고하고 이후에도 중성

       지방혈증이 지속되는 경우 위험도를 고려하여 일차약제로 스타틴을 투여

       할 것을 추천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66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365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4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63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62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1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0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8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356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5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5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35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4 김병광 2012.11.28 16847
35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34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