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8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LDL 콜레스테롤, small dense LDL,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HDL 콜레스테롤 등

     이 죽상동맥경화증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밝혀졌습니다.

     - 2014년 발표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면 고콜레스테롤

       유병율은 15.7%(남자 14.6%, 여자 16.7%)이고, 30 ~ 40대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았으나, 50대 이후에는 여자가 더 높습니다.

     - 2015년 제 3판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에는 LDL 콜레스테롤 진단기준을

       매우 높음(190mg/dl이상), 높음(160~189mg/dl) 경계(130~159mg/dl),

       정상(100~129mg/dl), 적정(100mg/dl미만)으로 세분화 하였습니다.

     - 2013년 미국심장학회(ACC)/미국심장협회(AHA)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스타틴제제를 사용하여 중상동맥경화성심장질환(ASCVD)예방을 하는데 도움

       이 될 수 있는 4그룹으로 소개 하였는데

          ① 임상적 ASCVD가 있는

          ② LDL 콜레스테롤이 190mg/dl 이상인 군

          ③ 임상적 ASCVD는 없지만 40~75세 사이의 당뇨병이 있으면서

             LDL 콜레스테롤이 190mg/dl이상인 군 

         ④ 임상적 ASCVD가 없거나 당뇨병이 있으면서 LDL 콜레스테롤이

            70~189mg/dl 이면서, ASCVD 10년 위험도가 7.5%이상인 군입니다.

      또한 4그룹 이외에 스타틴 치료가 도움을 될 수 있는 추가요인을 제시 하였

      습니다.(LDL 콜레스테롤 160mg/dl 이상이거나 유전성 이상지질혈증을 시사

      하는 근거가 있는 경우, 조기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 hs-CRP 〉2mg/L,

      coronary atery calcium(CAC) score가 300 Agatstone units 이상이거나,

      연령, 성별, 인종 보정 후 75%이상인 경우, 발목-상완지주(ABI)〈 0.9, 

      ASCVD의 평생위험도가 증가한 경우)

    - 2016년 9월에 유럽심장학회(ESC/유럽동맥경화학회(EAS)에서 이상지질혈증

      가이드라인 에서는 초위험군은 심혈관질환, 표적장기손상 또는 추가 위험인

      자가 있는 당뇨병, 중증의 만성신장질환( GFR〈30mL/min/1.73m²), 치명적

      심장질환의 10년 위험도(SCORE 위험도)가 10%이상인 군으로 분류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70mg/dl 미만으로 조절하도록 권고하였습니다.

      고위험군은 심혈관인자가 현저히 상승했거나(특히 콜레스테롤 310mg/dl이상

      이거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혈압이 180/110mmHg이상인 군),

      대부분의 당뇨병환자, 중등도의 만성신장질환(GFR 30~59mL/min/1.73m²,

      치명적인 심혈관질환의 10년 위험도(SCORE)가 5~10%사이의 군으로 분류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100mg/dl 미만으로 조절하도록 권고하였습니다.

   - 스타틴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해도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비스타

     틴계 지질치료제(콜레스테롤 흡소억제제인 ezetimibe 등)를 사용하도록 권고

     하였습니다.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인 경우 1차 치료제로 스타틴을 사용하고 스타틴을

     사용해도 계속 200mg/dl이상인 경우 fibrate제제의사용을 고려하도록 권고하

     였습니다.

     HDL 콜레스테롤은 치료 타켓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였습니다.

   - 그러나 이러한 여러 지침들이 차이점이 있어 대한가정의학회에서 2013년에

     발간된 것과 이후에 제시된 미국, 한국, 유럽의 가이드라인을 반영하여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을 개정 보완하였습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분류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5.07.25 6182
36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예방 김병광 2015.07.25 5747
36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58
36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2
36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치료제 김병광 2015.07.27 5593
36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김병광 2015.07.28 5740
36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89
36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백신 접종 김병광 2015.07.27 5823
35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운동요법 김병광 2015.07.27 5983
35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35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35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김병광 2015.07.26 5788
35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목표 김병광 2015.07.26 5959
35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김병광 2015.07.30 10097
35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35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김병광 2015.07.30 5919
35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35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61
34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5.07.29 6007
34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