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Ⅲ.이상지질혈증 - 권고사항

Ⅲ.이상지질혈증

※ 권고사항

1. 20세 이상 성인은 5년에 1회 이상 12시간 공복상태에서 혈청 지질농도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코레스테롤)를 측정

   합니다.

2. LDL 콜레스테롤 치료 목표를 위해 위험도에 따라 환자군을 분류하고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정합니다.

3. LDL 콜레스테롤을 치료의 일차목표로 사용합니다.

   HDL-C, apoB/apoA1과 non-HDL-C/HDL-C비율 등은 치료목표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4. 이차적인 원인이 없는 상태에서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190mg/dl이상

   인 경우, 위험정도와 상관없이 스타틴 투약을 시작해야 합니다.

5. 초고위험 환자군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70mg/dl미만으로 조절하거나,

      LDL 콜레스테롤의 기저치가 70 ~ 135mg/dl이었다면, 기저치의 5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고위험군환자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100mg/dl미만으로 조절하거나,

      LDL 콜레스테롤의 기저치가 100 ~ 200mg/dl이었다면 기저치의 5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6. 심혈관 질환이나 만성신장질환이 있는 제2형 당뇨병환자,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한 가지 이상 갖고 있거나 표적장기손상이 있는 40대

     이상에서 LDL 콜레스테롤을 70mg/dl 미만, 이차적으로 non-HDL 콜

     레스테롤을 100mg/dl미만, apoB를 80mg/dl미만으로 조절합니다.

   또한 표적장기 손상이나 추가위험인자가 없는 제 2형 당뇨환자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100mg/dl미만, 이차적으로 non-HDL 콜레스테롤

     130mg/dl미만, apoB 100mg/dl 미만으로 조절합니다.

7.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약물치료는 우선적으로 스타틴을 사용하고,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추천된 최대용량까지 증량하거나,

   최대의 관용량(orderable dose)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8. 모든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는 금기증이 없는 한

   LDL 콜레스테롤의 기처치에 상관없이,

   입원 후 조속히 고강도 스타틴을 사용합니다.

9. 3기에서 5기 만성신장질환 환자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고위험군 혹은

   초고위험군으로 고려합니다.

   투석하지 않은 만성신장질환환자는 스타틴을 사용하거나

     스타틴/에제티미브 병용요법에 대한 적응증이 됩니다.

10. 고위험군, 또는 초고위험군 환자에서 뇌졸중에 대한 일차예방 및

    이차예방을 위해 스타틴을 사용합니다.

    기존에 뇌졸중이나 일과성허혈발작(TIA)이 있었던 경우 뇌졸중의

    이차예방을 위해 고강도 스타틴이 추천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 지침 Ⅱ. 만성 신질환 1-4단계의 위험도 구분 Ⅲ. 만성 신질환 5단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 김병광 2013.01.25 10624
12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지침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김병광 2013.01.21 9801
12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김병광 2013.01.15 10379
12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Ⅳ. 혈당조절의 감시 Ⅴ 혈당조절 약제 4 김병광 2013.01.11 9878
12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12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김병광 2013.01.05 10190
12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Ⅶ. 약물요법: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Ⅷ. 약물요법: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김병광 2012.12.26 10783
12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11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11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11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11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4 김병광 2012.11.28 16847
11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11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113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112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111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110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10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108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