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당뇨환자에서는 흔히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이 동반되어 개선시켜야

     하며,

     항혈소판제 사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심혈관질환의 또 다른 위험요소인 흡연 또한 금지해야 합니다.

      

   ① 고혈압

      매 방문시마다 혈압을 측정해야 하며,

      혈압이 높은 경우 다른 날 재검이 필요합니다.

      120/80mmHg 이상이 넘는다면 혈압을 낮추는 생활습관 조절이 필요합니다.

      진료실 혈압기준이 140/90mmg(당뇨병 임상의료지침에서는 140/85mmHg)이

      넘는다면 약물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나이가 젊거나 알부민뇨가 있는 경우,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130/80mmHg 미만으로 목표치를 설정합니다.

       (고혈압 챔터 참조)

      

   ② 지질관리

      당뇨병이 진단되는 순간부터 지질검사를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지질개선을 위한 생활습관관리가 필요하고

      지질검사 결과 문제가 있거나 스타틴복용 후에는 지질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치료반응과 순응도에 대한 확인합니다.(이상지질혈증 챕터를 참조)

      

   ③ 항혈소판제제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10년 10%를 넘는 당뇨병 환자는

      아스피린 75-162mg/day를 고려해야 합니다.

      반대로 저위험(10년 위험도〈5% )를 가진 경우에는 임상적 판단에 따르도록

      합니다. (아스피린 예방요법 챔터 참조)

      

   ④ 관상동맥질환

      무증상 환자에서 관상동맥질환 선별검사는 권고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설명되지않은 호흡곤란이나 흉통과 같은 비전형인 심장증상이 있거나

      경동맥 잡음, 일과성허혈성 발작, 뇌졸중, 파행, 말초동맥질환 과 같은

      혈관질환의 증상/징후가 있을 때, 또는 심전도상에서 특정 이상을 보일 때에

      는 관상동맥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심장전문의에게 의뢰할 것을 고려해

      야 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12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12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12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1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12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12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1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3) 비만의 식사요법 김병광 2017.06.01 2761
118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5) 치료약제는 언제까지? 김병광 2017.05.23 2747
1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09 2743
116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7 2741
11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1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5) 비만의 행동치료 김병광 2017.06.04 2740
11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11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11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11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10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108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1)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김병광 2017.05.11 2703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