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1) 고혈압의 진단

     진료실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백의 고혈압이나 가면고혈압의

     가능성에 대하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가정혈압과 기존 진료실 혈압보다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 발생을 예측하는데

     더 유용합니다.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① 백의/가면 고혈압이 의심될 때와

       ② 진료실 혈압의 변동이 심하거나

       ③ 약제 치료에 반응이 적을 때이고

     활동혈압 측정은 낮 시간에 활동할 때와 수면 중의 혈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합니다.

     혈압측정 시 손목 측정용 혈압계는 혈압변동성이 있을 수 있어 위팔혈압계의

     사용이 권고되며

     혈압 측정은 ① 아침기상 후 1시간이내

                 ②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③ 배뇨 후에 측정하거나

                 ④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앉은 자세에서 최소 1-2분 안정 후

                    측정합니다.

※ 백의 고혈압과 가면고혈압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

백의 고혈압

가면고혈압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면서 가정혈압

   또는 주간 활동혈압이 135/85 

   mmHg 미만인 경우

② 진료실에서 1기고혈압 정도로

  고혈압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긴장에의해 일시적으로 혈압상승

  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 때

③ 진료실 혈압이 높지만 표적장기

   손상이 없으며, 기타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미만이지만 가정혈압

   또는 평균 주간 활동혈압이 

   135/85mmHg 이상인 경우

② 진료실 혈압이 정상이나 표적장

   기 미세손상이 있거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③ 진료실에서 혈압이 경계선 일 때

 

※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의 고혈압 진단기준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진료실 혈압

≥ 140

≥ 90

24시간 활동혈압

일일 평균 혈압

주간 평균 혈압

야간 평균혈압

≥ 130

≥ 135

≥ 120

≥ 80

≥ 85

≥ 70

가정혈압

≥ 135

≥ 85

 

※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혈압*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2기

120 - 129 또는 80 - 84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        1기

              2기

140 - 159 또는 90 - 99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정상혈압이란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일어선 후 3분 이내 측정한 혈압이 앉은상태의 혈압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분류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5.07.25 6182
36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예방 김병광 2015.07.25 5747
36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58
36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2
36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치료제 김병광 2015.07.27 5593
36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김병광 2015.07.28 5740
36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89
36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백신 접종 김병광 2015.07.27 5823
35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운동요법 김병광 2015.07.27 5983
35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35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35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김병광 2015.07.26 5788
35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목표 김병광 2015.07.26 5959
35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김병광 2015.07.30 10097
35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35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김병광 2015.07.30 5919
35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35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61
34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5.07.29 6007
34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