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1) 고혈압의 진단

     진료실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백의 고혈압이나 가면고혈압의

     가능성에 대하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가정혈압과 기존 진료실 혈압보다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 발생을 예측하는데

     더 유용합니다.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① 백의/가면 고혈압이 의심될 때와

       ② 진료실 혈압의 변동이 심하거나

       ③ 약제 치료에 반응이 적을 때이고

     활동혈압 측정은 낮 시간에 활동할 때와 수면 중의 혈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합니다.

     혈압측정 시 손목 측정용 혈압계는 혈압변동성이 있을 수 있어 위팔혈압계의

     사용이 권고되며

     혈압 측정은 ① 아침기상 후 1시간이내

                 ②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③ 배뇨 후에 측정하거나

                 ④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앉은 자세에서 최소 1-2분 안정 후

                    측정합니다.

※ 백의 고혈압과 가면고혈압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

백의 고혈압

가면고혈압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면서 가정혈압

   또는 주간 활동혈압이 135/85 

   mmHg 미만인 경우

② 진료실에서 1기고혈압 정도로

  고혈압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긴장에의해 일시적으로 혈압상승

  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 때

③ 진료실 혈압이 높지만 표적장기

   손상이 없으며, 기타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미만이지만 가정혈압

   또는 평균 주간 활동혈압이 

   135/85mmHg 이상인 경우

② 진료실 혈압이 정상이나 표적장

   기 미세손상이 있거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③ 진료실에서 혈압이 경계선 일 때

 

※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의 고혈압 진단기준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진료실 혈압

≥ 140

≥ 90

24시간 활동혈압

일일 평균 혈압

주간 평균 혈압

야간 평균혈압

≥ 130

≥ 135

≥ 120

≥ 80

≥ 85

≥ 70

가정혈압

≥ 135

≥ 85

 

※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혈압*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2기

120 - 129 또는 80 - 84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        1기

              2기

140 - 159 또는 90 - 99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정상혈압이란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일어선 후 3분 이내 측정한 혈압이 앉은상태의 혈압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66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365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64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63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62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61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60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5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58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35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356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355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35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35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35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4 김병광 2012.11.28 16847
35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35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34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34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