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1)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가 아닌 경우

    ① LTBI로 판명된 아래의 경우에는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결핵발병 고위험군).

      - HIV 감염인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모든 연령에서 최근 2년 내 감염이 확인된 경우(TST 양전이 확인된 경우)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② LTBI로 판명된 아래의 경우에는 LTBI 치료를 고려합니다.

      (결핵발병 중등도 위험군)

      - 규폐증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중이거나 사용예정자(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두경부암 및 혈액암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 비정상 흉부 X선: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IIB)

    ③ 흉부 X선에서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 있으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LTBI검사 결과와 무관하게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 HIV 감염인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④ 흉부 X선에서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이 있으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LTBI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LTBI

       치료를 고려합니다.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중이거나 사용예정자 (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2)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인 경우

    ① LTBI 검사 결과와 무관하게 (접촉 상황을 고려하여)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 HIV 감염인(IIA).

    ② 첫 TST 가 음성이어도 잠정적으로 LTBI 치료를 시행하며 접촉 종료

       8주 후에 TST를 반복하여 LTBI 치료 지속 여부를 결정합니다.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③ LTBI 로 판명되면 치료를 시행한다.

      - 35세 이하

      - 학교, 군대, 요양시설, 교정 시설 등 집단 생활 시설에서 전염성 결핵

        발병이 확인된 경우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예정자 (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두경부암 및 혈액암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 규폐증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30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1 3604
30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30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30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30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3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3833
29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3) 이상지질혈증의 비약물치료 김병광 2017.05.14 3881
29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29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29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29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2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4044
29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29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29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2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28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2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