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1)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가 아닌 경우

    ① LTBI로 판명된 아래의 경우에는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결핵발병 고위험군).

      - HIV 감염인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모든 연령에서 최근 2년 내 감염이 확인된 경우(TST 양전이 확인된 경우)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② LTBI로 판명된 아래의 경우에는 LTBI 치료를 고려합니다.

      (결핵발병 중등도 위험군)

      - 규폐증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중이거나 사용예정자(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두경부암 및 혈액암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 비정상 흉부 X선: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IIB)

    ③ 흉부 X선에서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 있으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LTBI검사 결과와 무관하게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 HIV 감염인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④ 흉부 X선에서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이 있으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LTBI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LTBI

       치료를 고려합니다.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중이거나 사용예정자 (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2)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인 경우

    ① LTBI 검사 결과와 무관하게 (접촉 상황을 고려하여) LTBI 치료를

       시행합니다.

      - HIV 감염인(IIA).

    ② 첫 TST 가 음성이어도 잠정적으로 LTBI 치료를 시행하며 접촉 종료

       8주 후에 TST를 반복하여 LTBI 치료 지속 여부를 결정합니다.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 TNF 길항제 사용자 혹은 사용예정자

    ③ LTBI 로 판명되면 치료를 시행한다.

      - 35세 이하

      - 학교, 군대, 요양시설, 교정 시설 등 집단 생활 시설에서 전염성 결핵

        발병이 확인된 경우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예정자 (15 mg/일 이상

        prednisone, 1달 이상 사용하는 경우)

      - 만성신부전

      - 당뇨병

      - 두경부암 및 혈액암

      - 위절제술 혹은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 규폐증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09 2743
32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15 3025
32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4044
32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3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2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김병광 2017.06.08 2877
32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3833
32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3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1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3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31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31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31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31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31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31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8 2050
30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3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