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결핵균에 감염되어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나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증상이 없고, 항산균 검사와 흉부 X선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를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체내에 남아 있는 소수의 균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결핵균의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결핵감염을 진단합니다. 이러한 제한점 때문에 치료된 결핵도

   검사상으로는 결핵감염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LTBI의 진단은 결핵감염검사

   결과와 함께 활동성 결핵이 없다는 임상소견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합니다.

   과거에는 LTBI에서 결핵 발생을 예방한다는 의미에서 ‘예방화학치료’라는

   용어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체내에 생존해 있는 소수의 균을 치료한다는

   의미에서 ‘LTBI의 치료’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LTBI 치료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국내 결핵 감염률은 1985년 및 1995년 전국결핵실태조사에서 시행된

   투베르쿨린 검사(tuberculin skin test,TST) 결과 20-24세에서 각각 74.5%,

   59.3%가 양성이었으나, 최근 시행된 연구에서는 15-20세의 고등학생이나

   젊은 군인에서는 약 20-30%의 TST 양성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LTBI의 치료가 국가결핵관리사업에 추가된 것은 1995년부터이며

   2009년도 이후 결핵관리지침에서는 활동성 결핵환자의 접촉자에 대하여 흉부

   X선 검사와 TST 검사를 및 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IGRA)의 사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LTBI의 치료 대상자도 과거에는 폐결핵 환자와 접촉한

   신생아와 6세 미만의 소아,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인 만을 언급하였

   다가 이후 학교 집단 발병에서의 감염자 및 종양괴사인자(TNF) 길항제 사용

   예정자가 대상에 추가되었으며 2009년부터는 결핵 발병 위험군을 지정하여

   LTBI 치료대상자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즉 국내에서도 점차 LTBI에 대한 진단

   및 치료가 강조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입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김병광 2017.06.08 2877
32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325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7) 당뇨병합병증의 선별검사 및 관리 김병광 2017.05.06 2895
32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01
32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322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4) 이상지질혈증 약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7.05.23 2963
321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32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3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15 3025
31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3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31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315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김병광 2017.05.12 3160
314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31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3371
31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31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31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30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3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