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1) 소아 폐결핵

     폐실질결핵과 연관된 흉강내 림프절종대가 소아결핵의 가장 흔한 발현

     양상이며, 결핵에 걸린 어린 소아는 다른 소아 또는 성인을 감염시키는

     것은 드물지만, 동공이 있거나 기관지 결핵이 있는 소아와 청소년은

     결핵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2) 소아 폐외 결핵

     소아의 전체결핵의 25-35%가 폐외 결핵으로 성인(10-15%)보다 높습니다.

     표재성 립프절 결핵은 소아 폐외 결핵의 50%정도이며, 결핵성 흉막염은

     청소년에서 더 흔히 나타나며, 취학 전 소아에게선 드물게 나타납니다.

     속립성 결핵은 모든 결핵의 1-2%을 차지하며, 영아와 5세미만의 소아,

     면역저하자 환자에서 더 흔히 발생합니다.

     속립성결핵은 림프혈행성 전파에 기인하고, 다기관 침범이 흔합니다.

  3) 주산기 결핵

     주산기결핵은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선천 또는 신생아결핵의 사망률은

     50%정도입니다.

     선천결핵은 매우 드무나 산모의 결핵성 자궁내막염 또는 속립성결핵과

     가장 흔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태반과 제대정맥을 통해 혈행성과

     태아가 감염된 양수를 흡입 또는 섭취하므로 획득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영아는 흉부X선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며 속립성양상이 가장

     흔합니다.

     신생아 결핵은 선천 결핵보다 좀더 흔하며, 산모의 분무된 호흡기 감염물에

     노출된 신생아에서 발생됩니다.

  4) 청소년 결핵

     청소년 결핵은 어린소아에서 발생하는 결핵과 똑같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소아기 결핵의 특징인 폐문 림프절 침범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전형적인

     원발성복합체 폐결핵으로 급속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은 어린 소아보다 공동형폐결핵으로 발현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

     결핵성 흉막염은 소아보다 청소년에서 더 흔히 발현됩니다.

     어린 소아 특히 1세미만은 속립성 결핵, 결핵성 수막염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으나 청소년기에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4
466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65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463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6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46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46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459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45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45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4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4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45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45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45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45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450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4 김병광 2011.12.08 14486
449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2 김병광 2011.12.07 14360
448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김병광 2011.12.05 13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