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1) 소아 폐결핵

     폐실질결핵과 연관된 흉강내 림프절종대가 소아결핵의 가장 흔한 발현

     양상이며, 결핵에 걸린 어린 소아는 다른 소아 또는 성인을 감염시키는

     것은 드물지만, 동공이 있거나 기관지 결핵이 있는 소아와 청소년은

     결핵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2) 소아 폐외 결핵

     소아의 전체결핵의 25-35%가 폐외 결핵으로 성인(10-15%)보다 높습니다.

     표재성 립프절 결핵은 소아 폐외 결핵의 50%정도이며, 결핵성 흉막염은

     청소년에서 더 흔히 나타나며, 취학 전 소아에게선 드물게 나타납니다.

     속립성 결핵은 모든 결핵의 1-2%을 차지하며, 영아와 5세미만의 소아,

     면역저하자 환자에서 더 흔히 발생합니다.

     속립성결핵은 림프혈행성 전파에 기인하고, 다기관 침범이 흔합니다.

  3) 주산기 결핵

     주산기결핵은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선천 또는 신생아결핵의 사망률은

     50%정도입니다.

     선천결핵은 매우 드무나 산모의 결핵성 자궁내막염 또는 속립성결핵과

     가장 흔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태반과 제대정맥을 통해 혈행성과

     태아가 감염된 양수를 흡입 또는 섭취하므로 획득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영아는 흉부X선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며 속립성양상이 가장

     흔합니다.

     신생아 결핵은 선천 결핵보다 좀더 흔하며, 산모의 분무된 호흡기 감염물에

     노출된 신생아에서 발생됩니다.

  4) 청소년 결핵

     청소년 결핵은 어린소아에서 발생하는 결핵과 똑같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소아기 결핵의 특징인 폐문 림프절 침범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전형적인

     원발성복합체 폐결핵으로 급속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은 어린 소아보다 공동형폐결핵으로 발현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

     결핵성 흉막염은 소아보다 청소년에서 더 흔히 발현됩니다.

     어린 소아 특히 1세미만은 속립성 결핵, 결핵성 수막염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으나 청소년기에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3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3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3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3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 권고사황 1. 서론 김병광 2018.01.17 2041
3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3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3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19 2303
2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2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2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2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8 2357
2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2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2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2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2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2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2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2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