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1. HIV 감염인의 결핵 치료

  ☎ 권고요약

    ① HIV 감염인에서 발생한 결핵의 치료는 HIV에 감염되지 않은 환자에서의

       결핵 치료와 동일합니다.

    ② HIV 감염인에서 결핵이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결핵치료를 시작합니다.

    ③ 결핵이 진단된 HIV 감염인에서 ART (anti-retroviral therapy)를

       시작하는 적절한 시기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지만 CD4림프구수 <50/mm3

       의 경우 결핵 치료 2주 이내에 ART를 시작하고, CD4림프구수 ≥50/mm3이면

       서 임상적으로 심한 질환의 경우는 2-4주 이내에 ART를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2-4주이후로 ART를 미룰 수 있지만 8-12주 이내에

       ART를 시작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단, 결핵성 수막염의 경우에는 ART 시작 시기에 논란이 있어 8주 이후에

       ART를 시작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1) 항레트로바이러스 약제와 항결핵제의 부작용과 약제 상호 작용

  ☎ 권고요약

   ① Rifamycin은 ART를 시행 받는 환자들에서 결핵 치료약제로 포함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② Protease inhibitor (PI)를 포함한 ART를 시행 받고 있는 HIV 환자에서는

      약제 상호 작용이 발생할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리팜핀보다 약제

      상호작용이 적은 리파부틴의 사용이 더 선호되며,

      리팜핀을 PI, etravirine, rilpivirine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습니다.

   ③ Rifapentine은 CYP3A4 효소를 유도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 대사에

      큰 영향을 주므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받고 있는 경우는 권고하지

      않습니다.

   ④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억제제(non-ne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와 리팜핀 사이에는 약제 상호 작용이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결핵 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HIV 환자에서 NNRTI를

      포함한 ART를 시행하는 것이 더 선호되며, NNRTI를 포함한 ART를 시행 받고

      있는 HIV 환자에서는 리팜핀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면역재구성염증증후군(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IRIS)

  ☎ 권고요약

   ① 면역재구성염증증후군(immune reconstitution inflammatory syndrome,

      IRIS)이 발생하더라도 결핵 치료와 ART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② IRIS의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사용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2. HIV 감염인의 잠복결핵감염

 ☎ 권고요약

  ① HIV 감염인은 잠복결핵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 IGRA 혹은 TST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② TST에서 5 mm 이상의 경결을 보이면 양성으로 판정합니다. 만약 검사시기의

     CD4 림프구수가 200/mm3 미만이고 검사결과가 음성이었다면, CD4 림프구수가

     200/mm3 이상으로 증가한 후에 검사를 반복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③ HIV 감염인에서 결핵감염검사 양성이고 활동성결핵이 아니고 결핵의 과거력

     이 없다면 LTBI에 대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④ LTBI에 대한 치료법으로 이소니아지드 9개월요법을 권고합니다. 이소니아지

     드 부작용으로 투여가 어렵거나, 이소니아지드 내성균에 감염된 전염성결핵

     환자와 접촉을 한 경우에는 리팜핀 4-6개월요법을 고려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286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285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616
28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김병광 2013.11.18 7548
283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정리: Ⅰ. 서론 Ⅱ. 진단 3 김병광 2015.10.02 7365
28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김병광 2013.11.22 7346
28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58
28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27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278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요법 - 2.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 김병광 2015.09.16 6657
27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56
27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27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274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1. 당뇨병에서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9.21 6539
273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정리:Ⅲ. 치료 김병광 2015.10.02 6531
272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6.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김병광 2015.09.21 6520
27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김병광 2015.08.01 6408
27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269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2. 만성콩팥병에서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9.21 6358
268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 - 3. 기타 생활요법 김병광 2015.09.16 631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