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 권고요약:

    ① 결핵 치료 전 가임 여성에 대해 임신 여부 및 임신 계획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② 임신한 결핵환자의 초치료 시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및

       피라진아미드의 표준치료(2HREZ/4HRE) 또는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9개월 치료(9HRE)를 권고합니다.

    ③ 일차 항결핵제로 치료하는 산모는 모유 수유를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산모와 수유부에게 이소니아지드를 사용할 시에는 피리독신을 같이

       복용하여야 합니다.

  1) 임산부에서의 결핵 치료

    ① 리팜핀을 포함한 항결핵제로 치료받을 경우 경구피임제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콘돔 등 다른 피임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② 일차항결핵제인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는 모두

       태반을 통과하지만 태아의 기형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임산부에서 피라진아미드를 포함시키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피라진아미드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이소니아지드, 에탐부톨

       리팜핀 9개월 요법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③ 임산부에서 다제내성 결핵환자일 경우 전문가에게 의뢰한 것을 권고합니다.

       아미노글리코시드는 태아에게 청력이상을 일으킬 수 있고, 프로치온아미드

       는 동물실험에서 태아의 성장발육을 저해하고, 파스의 경우 출생 시

       여러 가지 이상이 보이고, 퀴놀론, 시클로세린, 리파부틴은 안저 안정성에

       대한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다른 약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모유 수유 중의 결핵치료

     일차 항결핵제로 치료중인 산모가 모유수유를 해도 소량만이 아기에게

     전달되므로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약제내성으로 이차항결핵제로

     치료중인 산모의 모유에서 노출된 소량의 항결핵제가 아기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분유로 대체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4) 병력 및 신체진찰, 김병광 2018.01.19 2017
3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3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3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의, 역학, 위험인자 김병광 2018.01.19 2024
3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 권고사황 1. 서론 김병광 2018.01.17 2041
3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권고사항 1. 서론 2.본론 1) 일차 진료 발기부전 진료의 특징 김병광 2018.01.16 2028
3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Ⅰ. 발기부전 - 1. 본론 2) 발기부전 환자의 진단,3) PDE5억제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8.01.17 2179
3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19 2303
29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Ⅳ. 뇌 MRI 및 MRA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19 2611
2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권고사항 1. 서론 김병광 2018.03.15 2549
2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7 2510
2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Ⅲ. 관상동맥 CT검사 - 2. 본론 김병광 2018.03.18 2357
2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권고사항 김병광 2018.03.05 2301
2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2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2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2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김병광 2018.03.05 2282
2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1. 서론 김병광 2018.03.05 2207
2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1) 맥파 전달 속도 검사 김병광 2018.03.03 2560
2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2. 본론 2) 발목 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58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