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의 치료

    다제내성결핵이란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을 말합니다.

  1) 치료의 일반 원칙

   ⑴ 효과있는 약제를 선정하기 위해 과거 결핵 치료력과 약제감수성검사를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을 충촉해야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① 과거 치료실패한 처방에 포함되지 않았던 약제

       ② 약제 감수성 검사에서 감수성이 증명된 양제

       ③ 약제내성 결핵내성 환자와의 접촉력

       ④ 지역사회의 내성 패턴

   ⑵ 약제를 선정할 때 약제감수성검사를 참조해야 하지만,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 제 4군, 5군에 포함된 약제에 대한 약제감수성검사는

      전적으로 신뢰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⑶ 항결핵효과가 강력한 군에 포함된 약제부터 순차적으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2차 항결핵제 중 가장 우선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약제는 퀴놀론계와

      제4군약제는 프로치온아미드, 시클로세린, 파스의 순서로 처방에 포함

      시킴니다.

   ⑷ 효과가 없는 약제의 조합에 새로운 약제를 한 가지만 추가해서는 안됨니다.

   ⑸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2) 치료 처방의 구성

   ① 집중치료기 처방은 효과 있는 2차 항결핵제 4가지(주사제 포함)와

      피라진아미드로 구성합니다.

   ② 치료 처방은 최소한 피라진아미드, 퀴놀론계 약제, 주사제,

      프로치온아미드, 시클로세린을 포함해야 하며, 파스는 시클로세린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③ 퀴놀론계 약제는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레보플록사신 혹은 목시플록사신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④ 프로치온아미드를 반드시 사용합니다.

   ⑤ 에탐부톨은 감수성을 보일 경우 사용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약제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3) 치료 기간

    ① 집중치료기는 최소 8개월을 권고합니다.

    ② 총 치료기간은 과거 다제내성결핵 치료력이 없는 환자에서

       최소 20개월을 권고합니다.

  4) 다제내성 결핵의 수술적 치료

    ① 약제에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결핵의 경우, 병변이 국소적이며 환자의

       전신상태가 양호한 경우, 그리고 감수성 약제가 2-3개 남아있는 경우

       병변의 수술적 제거를 권고합니다.

    ② 치료 시작 2-3개월 후 수술 여부를 결정하여 시행해야 합니다.

    ③ 병변이 성공적으로 제거되더라도 균 음전 후 12-24개월간의 항결핵제의

       투여가 필요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16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16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16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162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1 3604
161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16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15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15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15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1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15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3371
154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153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김병광 2017.05.12 3160
15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15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1) 진료지침 응용 김병광 2018.03.06 3117
15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3032
14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15 3025
14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987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