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이 진단되면 각 환자의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따라 통풍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1) 식이요법 및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입니다.

    ⑴ 체중감소가 필요하나 급격한 체중감량은 통풍발작을 유발할수 있으므로

       서서히 감량해야 합니다.

    ⑵ 고지방과 고칼로리의 식이습관을 버리고 영양사의 도움을 받아 골고루

       섭취하는 건강식단을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

    ⑶ 금연은 필수적이며 적절한 운동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⑷ 식이

      ① 피해야 할 음식

        - 췌장, 신장, 간 등의 내장류

        - 과당이 많이 함유된 옥수수시럽이 포함된 량 음료와 과자, 음식들,

        - 과량의 알코올을 포함한 음료

      ② 너무 많이 먹어서는 안 될 음식 또는 적게 먹어야할 음식

        - 소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정어리와 조개 등의 생선

        - 과당이 첨가되지 않은 자연과일 주스, 설탕이 많이 들어있는 음료나

          음식,

        - 소금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

        - 맥주를 포함한 알코올 함유음료

          맥주는 퓨린이 많이 들어있는 가장 피해야 할 술이지만 소주나 막걸리,

          위스키, 꼬냑, 고량주, 포도주, 과일주 등도 알코올량에 비례하여

          통풍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저게 섭취해야 합니다.

      ③ 권장하여야 할 음식

        - 우유나 요구르트, 치즈 등의 저지방 또는 무지방 낙농식품과 야채

          등입니다.

        - 블랙커피는 요산의 배설을 촉진시키므로 제한하지 않습니다.

  2) 고요산혈증의 2차적인 원인이 없는지 동반질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비만, 지나친 알코올 섭취, 대사증후군, 2형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상동맥질이나 뇌졸중의 가능성,

     요산을 증가시키는 약물복용 여부, 요로결석, 만성신장병, 뇨산과생산질환

      (유전성 퓨린대사이상, 건선, 백혈병, 림프종 등), 납중독 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고뇨산등을 유발할 수 있는 이뇨제나 아스피린을 사용하고 있는지,

    이런 약물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지,

    다른 필요 없는 약이 없는지 확인해야 하고 고혈압으로 이뇨제를 복용중이라면

    다른 종류의 약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해야 하나,

    이뇨제가 효과가 좋고 뇨산저하제로 목표에 잘 도달하고 있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저용량의 아스피린을 사용해도 뇨산이 잘 조절된다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신체검사에서 만져지는 통풍결절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많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급성 또는 만성통풍의 증상과 징후가 얼마나 심하고 자주 발생되는지 등을

    조사하여 질병의 중증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J Korean Med Assoc 2016 May; 59(5): 379-384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66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65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64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63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462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61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60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2
459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58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57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6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55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4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4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4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4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