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Ⅴ.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요법

  1. 약제의 선택기준

    ① 초고위험군 환자 중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LDL-C 농도와

       상관없이스타틴 사용을합니다.

    ②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생활습관의 교정과 동시에 스타틴 사용을

       합니다.

    ③ 저위험군 또는 중등도위험군 환자의 경우 수 주 내지 수 개월간

       생활습관의 교정을 시도한 후에도 LDL-C 치료목표에 도달하지

       않으면스타틴 사용을합니다.

    ④ 스타틴 외의 약제는 피브레이트, 담즙산 제거제, 니코틴산,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에제티미브, Ezetimibe), 오메가-3 지방산

       등의약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⑤ 청소년 및 소아의 경우에는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합니다.

    ⑥ 신질환,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동반된 경우 특별히 고려해야

       합니다.

    ⑦ 초고위험군 환자는 반드시 스타틴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는 LDL-C 농도와 상관없이 시행해야 합니다.

    ⑧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에제티미브)는 스타틴 불내성이 있는 경우

       단독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⑨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스타틴을 일괄적으로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⑩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에제티미브)는 스타틴 불내성이 있는 경우

       단독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⑪ 2회 연속 측정한 LDL-C 농도가 40 mg/dL 이하이면 스타틴 감량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⑫ 스타틴 투여 중 새롭게 당뇨병이 진단된 경우 투여를 중단하는

       것보다심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 당뇨병에 대한 생활습관의

       변화(체중 감량, 금연, 규칙적인 운동 등)를 유도하면서 스타틴

       투여를 지속하도록 해야 합니다.

    ⑬ 스타틴 투여 후 인지 능력의 장애가 관찰되면 스타틴 약제에 의한

       가능성보다, 병용하는 신경정신과적인 약물의 부작용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약제의 병용요법

    1) 고용량의 스타틴 치료에도 불구하고 LDL-C 치료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거나,스타틴 치료에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스타틴외의 약제(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

       (에제티미브), 담즙산 제거제)의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스타틴 사용과 생활습관 교정 후에 LDL-C 치료목표에 도달하였으나

       중성 지방이 200 mg/dL 이상인 경우 초고위험군 및 고위험군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 스타틴외의 약제(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오메가-3 지방산)의 사용을 고려해야합니다.

    3) 스타틴과 피브레이트 제제의 병용 시에는 근병증의 부작용 발생을

       고려해야합니다.

    4) 투석이나 신이식을 받지 않은 사구체 여과율 60 mL/min/1.73m2

       미만의만성콩팥병 환자에서는 스타틴 단독 혹은 스타틴/콜레스테롤

       흡수억제제(에제티미브) 병용요법을 권고합니다.

    5) 스타틴과 피브레이트 제제 중 겜피브로질(Gemfibrozil)의 병용요법

       은 근병증의 위험으로 권고되지 않습니다.

    6) 피브레이트 투여 후 지속적으로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1.73m2

       미만이면 투약을 중단합니다.

  3. 약제의 투여기간

    1) 이상지질혈증의 스타틴 치료는 평생 지속적으로 합니다.

    2) 금연이나 10% 이상의 체중 감량 등 위험인자의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약물의 감량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66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65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64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63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1
462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61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60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2
459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58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57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6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55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4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4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4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4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