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5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1)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위험도 분류

LDL-C 목표 (mg/dL)

Non-HDL-C목표 (mg/dL)

초고위험군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뇌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

   말초혈관질환

        <70

        <100

고위험군

   경동맥질환

   복부동맥류

   당뇨병

       < 100

        <130

중등도위험군

 주요 위험인자 2개이상

       <130

        <160

저위험군

 주요 위험인자 1개이하

       <160

        <190

..

                           LDL-C 제외한 주요 위험인자

         위 험 인 자

           내 용

  흡연

  흡연하는 경우

  고혈압

 • 140 mmHg이상/90 mmHg 이상

 • 항고혈압제 복용

  낮은 HDL-C

 • HDL-C 40 mg/dL 미만인 경우

  연령

 • 남성의 경우 45세 이상

 • 여성의 경우 55세 이상

 조기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 부모, 형제자매 중

   남성의 경우 55세 미만,

   여성의 경우 65세 미만에서

   관상동맥질환이 발병한 경우

 ※ 높은 HDL-C (60 mg/dL이상)은 보호인자로 간주하여

    총 위험인자 수에서 하나를 감한다(총 위험인자 수 -1).


    2) 중성지방

      ⑴ 중성지방 농도가 500 mg/dL 이상인 경우

        ① 이차적인 원인 및 지질대사 이상 등 유전적인 원인을 확인하고

           교정하기를 권고합니다.

            - 탄수화물 섭취    - 당뇨병       - 음주      

            - 갑상선 기능저하  - 체중증가      - 임신   

            - 만성신부전       - 에스트로겐 등의 투약력

        ② 췌장염의 예방을 위해서 적절한 식사요법 및 금주와 함께

             약제 사용을 권고합니다.

        ③ 1차 약은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오메가-3 지방산 등의 약제로

             선택할 것을 권고합니다

      ⑵ 중성지방 농도가 200-500 mg/dL인 경우

        ① LDL-C가 함께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LDL-C 농도를

           위험군에 따른 목표치까지 낮출 것을 권고합니다.

           LDL-C는 이미 위험군에 따른 목표치 이하로 조절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 생활습관 교정을 권고하고

           이후에도 중성지방 농도가 200-500 mg/dL로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위험군에 따른 Non-HDL-C 치료목표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3) 고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⑴ HDL-C 농도가 낮은 경우(남성 40mg/dL, 여성 50 mg/dL 미만)

         LDL-C를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분류에 따른 치료목표로 하여

         조절하도록 권고합니다.

 

  2.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방법

    1) 약물을 투여한 후에도 LDL-C 농도가 치료목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① 스타틴의 용량을 최대한 증량시키거나 다른 계열의 지질강하제를

          병용히여 치료목표에 도달하도록 조절할 것을 권고합니다.

       ② 지질강하제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경우 용량을 감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후 추적관찰

    1) 이상지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혈중 지질 농도 측정을 하고

    2)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4-12주 후 간 관련 부작용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혈중에서 간효소 수치 측정합니다.

    3) 간기능의 이상이 나오면 다른 원인의 간효소 수치 상승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스타틴 복용 후 간효소(AST/ALT)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하면 수 일 내지 수 주 이내에 간효소 수치를 다시 검사하고

       계속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증가되어 있으면 투약을 중단합니다.

    5)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과정 중

      ① 근육 관련 증상(근육통, 근쇠약감)을 호소할 경우

         근육효소(CK) 수치 측정 합니다.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증가되면 투약을 중단합니다.

      ② 이상지질혈증 약물 치료 중 근육 관련 증상에 대한 문진을 고려

         해야합니다.

      ③ 운동, 갑상선기능저하증, 스테로이드제제를 포함한 일부 약물

         알콜 등

         다른 원인으로 근육 효소 수치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④ 근육 관련 증상을 호소하나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미만일

         경우는

         스타틴을 중단하고 2~4주 후 다시 투여해 볼 수 있습니다.

         동일한 증상이 나오면 다른 스타틴, 저용량, 2일에 1번 또는

         1주에 2번 복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고위험군 환자에서는 스타틴을 중단하지 말고 이런

         방법으로적극적으로 투약할 것을 고려합니다.

      ⑤ 근육 관련 증상을 호소하고 CK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4∼10배인

         경우는

         근육 관련 증상과 CK 수치가 정상화 될 때까지 스타틴을 중단

         합니다.

         이후 저용량의 다른 스타틴, 2일에 1번 또는 1주에 2번 복용 등의

         방법을 CK 수치를 추적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66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65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64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63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0
462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61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0
460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1
459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58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57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6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55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4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4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4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4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